현대건설 계동사옥.@현대건설
현대건설 계동사옥.@현대건설

건설사 맏형격의 현대건설과 삼성물산 건설부문(이하 삼성물산)이 엇갈린 작년 성적표를 받았다. 현대건설은 지난해 4분기 1조원을 훌쩍 넘기는 분기 영업손실로 연간 영업이익까지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반면 삼성물산은 수익성 중심의 포트폴리오 확충으로 2년 연속 영업익 '1조 클럽' 진입에 성공했다. 

22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현대건설의 연결재무제표 기준 지난해 영업손실 규모는 1조 2209억원으로, 전년(영업이익 7854억원)과 비교해 적자 전환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3분기까지 연이어 흑자를 내다가 4분기 1조7000억원대의 손실 한방에 '적자'로 돌아섰다. 현대건설의 영업적자는 2001년 3828만원을 기록한 이후 연간 기준으로 23년 만이다. 

대규모 손실은 현대건설 자체 부진과 자회사 현대엔지니어링의 '빅배스(Big Bath·대규모 손실)' 단행에서 비롯됐다. 현대엔지니어링의 빅베스 단행 가능성은 현대차그룹 '재무통'인 주우정 신임 대표가 선임됐을 때부터 예견됐다. 전임 CEO의 누적 손실을 털어버리는 방법으로, 제로베이스에서 다시 실적을 쌓아올리겠다는 의도가 있었을 거란 해석이다. 

현대엔지니어링의 부진은 2019∼2020년 인도네시아에서 연이어 수주한 발릭파판 정유공장 프로젝트와 2021년 현대건설과 현대엔지니어링이 공동 수주한 사우디 자푸라 가스플랜트 사업에서 손실이 발생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발릭파판은 인도네시아 국영석유회사인 페르타미나가 발주한 사업으로 계약금은 약 4조2000억원에 이른다. 사우디 국영석유회사 아람코가 발주한 자푸라 가스플랜트 사업의 현대엔지니어링 지분은 약 1조1000억원이다.

이들 사업은 코로나19 팬데믹 사태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중동 분쟁 등으로 시작과 함께 부침을 겪었다. 공사는 지지부진한 데 인건비와 자재비 등 공사원가가 급상승하고 공기 지연 등으로 추가 비용이 계속해서 발생했고, 이로 인해 두 사업장에서만 무려 1조원대의 손실이 발생했다. 

그러나 자회사의 대규모 부실에도 현대건설은 공격적 외형 성장 기조에 힘입어 연간 매출 30조원 시대를 여는 데 성공했다. 이는 당초 목표치였던 29조7000억원을 10.1% 상회해 달성한 수치다. 또한 2022년 21조 2391억원, 2023년 29조 6514억원에 이어 3년 연속으로 최대치를 경신했다. 이라크 바스라 정유공장, 샤힌 프로젝트 등 대형 현장의 공정이 순항 중인 가운데 올림픽파크 포레온 등 주택 부문의 실적이 반영된 결과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글로벌 경쟁력을 보유한 대형원전을 포함해 소형모듈원전(SMR), 해상풍력·태양광·수소사업 등 청정에너지 사업을 확대해 기후 변화와 폭발적인 에너지 소비 확대에 대응하고 신개념 주거상품 개발과 생산기술 혁신에 더욱 힘쓸 예정"이라며 "수익성 개선을 최우선 과제로 지속가능한 미래 신성장 동력을 확보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제공=삼성물산]
[제공=삼성물산]

반면 삼성물산 건설부문은 연결기준 지난해 매출 18조6550억원, 영업이익 1조10억원을 기록했다고 22일 밝혔다.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전년 대비 3.4%, 3.2% 줄어든 성적이지만, 열위해진 업계 경영 환경을 고려하면 선방 이상의 성적이라는 평가다. 

수익성 중심의 포트폴리오가 호실적의 배경이 됐다. 영업이익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삼성전자 등 계열사 공사 수행이 많았던 데다 사업성이 높은 현장 위주의 선별적 수주 전략이 빛을 발했다. 

삼성물산 건설부문 관계자는 “대외 환경 변화 등으로 전년 대비 매출과 이익이 소폭 감소했으나 수익성 중심의 포트폴리오를 바탕으로 견조한 실적을 유지했다”고 설명했다.

건설부문의 호실적에 힘입어 삼성물산의 전사실적은 지난해 매출 42조1030억원, 영업이익 2조9840억원으로,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0.1%, 영업이익은 1.2% 증가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