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파트 건설 현장, 기사와 무관. [제공=연합]
▶ 아파트 건설 현장, 기사와 무관. [제공=연합]

국내 건설업계가 올해 상반기 2조 6000억원에 이르는 규모의 회사채 만기 도래라는 중대한 재무적 도전에 직면해 있다. 이는 올해 만기 회사채 절반이 넘는 물량으로, 당분간 건설업계가 받는 자금 압박은 상당할 전망이다. 특히 탄핵정국과 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 등장으로 회사채 발행 여건이 악화되고 있다는 점에서 중견·중소 건설사들의 리파이낸싱 여부에 시장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시공능력평가 상위 30개 건설사가 올해 안으로 갚아야 할 회사채 규모는 3조8100억원에 이른다. 이 중 절반 이상인 2조 6200억원 어치가 상반기에 만기를 맞는다. 문제는 건설 경기 불황에 탄핵정국, 자국 우선주의인 트럼프 행정부의 재집권으로 자금 조달 시장의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있다는 점이다. 

그나마 유동성이 받쳐주는 대형 건설사는 리파이낸싱에 큰 문제가 없을 전망이다. 차환 발행에 나선다고 해도 우량 채권으로 분류돼 수요예측에서 투자자를 모으는 데 어려움은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문제는 중견·중소건설사다. 중견·중소건설사들은 대형 건설사보다 현금 유동성이 떨어질 뿐 아니라 비선호 업종으로 분류돼 채권발행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이달 초 발생한 신동아건설 법정관리 신청은 중견·중소건설사들의 자금 조달을 더욱 버겁게 만들고 있다. 

다행히 올해 첫 건설채 타자인HL D&I한라는 지난 16일 710억원 규모 회사채 수요예측에서 ‘완판’을 기록했다. BBB+(안정적)으로 비우량 등급인 데다 건설업이라는 비선호 업종이지만, '연초효과'에 힘입어 공모액을 넘는 주문을 모으는 데 성공할 수 있었다.  

하지만 2월 회사채 발행에 나선 중견·중소형 건설사들은 흥행을 자신할 수 없다. 연초효과가 사그러지는 시기라는 점에서 1월과 같은 풍부한 자금 유입을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결국 금리가 높은 단기 금융 시장에 기댈 수밖에 없는데 이도 투자가 가능한 건설사에 한한다.  

시장 관계자는 "연초효과가 끝나면 건설사 개별 이벤트가 부각되면서 투자자들이 더욱 보수적인 투자 기조를 보일 가능성이 높다"며 "신동아건설 법정관리로 건설채에 대한 투심이 더욱 인색해지면서 건설사들의 자금난은 가중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