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서울 민간 아파트의 평균 분양가가 전례 없는 상승률을 보이며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는 공사비 증가와 원자잿값 급등이 주요인으로 작용한 결과로 분석된다.
27일 주택도시보증공사(HUG)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 민간 아파트의 3.3㎡(1평)당 평균 분양가는 4408만9000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대비 908만1000원(25.9%) 상승한 수치로, HUG가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15년 이후 가장 큰 폭의 상승률이다.
서울뿐 아니라 수도권 전체에서도 유사한 경향이 나타났다. 지난해 수도권 아파트의 평당 평균 분양가는 2813만6000원으로 전년보다 15.4% 오른 것으로 확인됐다. 수도권 분양가는 2020년까지 평당 2000만원 미만 수준을 유지했으나 이후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여왔다.
전국 기준에서도 지난해 평당 평균 분양가는 1889만6000원을 기록하며 최고치를 경신했다. 다만 상승률 면에서는 올해 들어 더 가팔라진 추세를 보이고 있다.
올해 전국 평당 평균 분양가는 전년 대비 약 12.3% 증가하며 더욱 높은 상승폭을 기록했다.
지역별로는 경기(25.8%), 광주(23.8%), 충남(16.2%), 전남(26.5%), 경남(13.2%) 등이 각각 역대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업계 전문가들은 최근의 이 같은 급격한 분양가 인상이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의 전쟁으로 인한 원자재 가격 급등에 기인한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 HDC현산, 작년 매출 증가 불구 영업익 감소
- HDC현대산업개발, 지난해 영업익 1846억…전년比 5.5%↓
- [ESG 경영] 호반건설 등 호반그룹 임직원 기부금 10억원 돌파
- 모처럼 '수주 단비' 내리자…건설사들 "요즘만 같아라" 반색
- [내일(28일) 날씨] 설 하루 앞 많은 눈...전국 대설특보
- 명절기간 열차 ‘승차권 암표 거래’ 의심사례, 최근 5년간 148건
- 지난해 서울 아파트 매매가, 2021년 수준 근접
- [Constr. & Now] 직방, '지킴중개' 서비스 명칭 '지킴'으로 변경...서비스 고도화 등
- 1월 아파트 분양가 22개월만 ‘최저’...분양가 안정세 진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