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EBN AI 그래픽 DB]](https://cdn.ebn.co.kr/news/photo/202502/1650579_663018_353.jpg)
미국과 중국 간 '관세전쟁'이 본격화하면서 에너지·정유 업계를 둘러싼 불확실성이 높아지고 있다. 양국의 샅바싸움으로 원유를 비롯한 에너지 수요가 하락할 것이란 부정적 전망과 함께 현 수준의 관세가 국내 산업에 미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란 낙관론이 공존하는 모습이다.
5일 에너지 업계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정부는 중국에 대한 10%의 추가 보편관세를 지난 4일(현지시각) 공식 발효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행정명령에 따라 모든 중국산 수입품에 적용되는 관세율은 기존에 10%를 더한 평균 30%가 적용된다.
이에 중국의 전략산업 분야 중 전기차의 관세율은 100%에서 110%로, 전기차 리튬배터리와 배터리 부품 관세율은 25%에서 35%로 올랐다. 또 태양광 웨이퍼 및 폴리실리콘 관세율은 50%에서 60%로, 텅스텐·알루미늄 등의 관세율도 25%에서 35%로 인상됐다.
미국의 추가 관세가 발효되자 중국 역시 보복 조치를 단행했다. 미국산 석탄과 액화천연가스(LNG)에 15%의 관세를 추가하고, 텅스텐 등 원료의 미국 수출을 통제하며 곧장 맞대응했다.
에너지 및 정유업계는 이번 중국의 LNG 관세 보복 조치가 미칠 영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미국은 세계 최대 LNG 수출국으로서 한국은 미국산 LNG의 주요 구매국 중 하나다. 2023년 기준 한국이 수입한 LNG의 20%가량이 미국산으로, 이는 카타르·호주에 이어 세 번째로 높은 비중이다.
양국의 관세 전쟁이 지속될 경우 국내 산업에도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실제로 세계 1·2위 경제 대국인 두 나라 간 무역전쟁이 본격화하자 당장 원유 가격이 흔들리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중국의 보복 대응 발표 이후 1.9% 떨어져 배럴당 72달러까지 하락했다. 브렌트유는 배럴당 75달러에 근접했다.
싱가포르의 삭소마켓의 차루 차나나 수석 투자전략가는 "석유 시장의 변동성은 새로운 트럼프 행정부가 가져온 정책 불확실성을 반영한 것"이라며 "시장이 대체로 감정에 의해 주도되고 있으며, 관세가 가격 방향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조상범 대한석유협회 실장은 "과거 미중 무역 분쟁이 반발하기 전에는 중국이 미국으로부터 수입하는 원유량이 상당 부분 달했고 미국 입장에서는 (중국이) 가장 큰 원유 수출국이기도 했다"며 "트럼프 1기 때 미중무역 분쟁이 발생하면서 미국산 원유가 중국으로 가지 않고 우리나라로 들어왔던 배경이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그는 양국의 보복 관세 양상이 짙어질 경우 글로벌 에너지 수요의 하락이 발생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조 실장은 "미중 무역 갈등으로 국가 간 교역이 감소하면 선박 수요가 줄어들고 석유와 에너지 수요 자체의 하락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며 "(양국의 무역 갈등은) 긍정 요인보다 부정적인 영향이 더 클 것"이라고 분석했다.
■ "미중 간 관세 10% 수준…韓 영향 적어" 전망도
반면 미국과 중국의 갈등이 국내 산업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할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현재 미국과 중국이 서로에게 매기는 관세 수준이 다른 국가에 미칠 정도는 아니라는 이유에서다.
조성대 한국무역협회 통상연구실장은 "미국과 중국의 관세보복이 장기화하고 관세 수준이 더 오른다면 영향을 받을 수 있을것"이라면서도 "하지만 지금 당장 현시점에서는 큰 영향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현 10% 수준의 관세는 결국 미중 간의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며 "한국에게까지는 큰 영향이 미치진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일각에서는 미국의 관세 정책에 중국이 어떻게 대응하느냐에 따라 국내 산업에 미칠 영향력이 결정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LNG 업계 한 관계자는 "중국이 미국산 LNG에 15% 관세를 부과한다면 미국산 LNG 수요가 줄어들면서 이를 사려는 유럽과 일본, 한국이 가격적 측면에서 좀 더 좋을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이어 "다만 중국은 동남아나 러시아에서 LNG를 수입할 수 있고 이 경우 미국이 아닌 지역에서의 천연가스 가격이 상승할 수 있다"며 "결국 중국의 대응 상황에 따라 국내 에너지 업계에 미칠 영향도 달라질 것"이라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