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프레시웨이 이천물류센터. [출처=CJ프레시웨이]](https://cdn.ebn.co.kr/news/photo/202502/1650960_663443_937.jpg)
CJ프레시웨이가 지난해 매출 3조2248억, 영업이익 940억을 기록했다. 각각 전년 대비 4.9% 증가, 5.3% 감소한 수치다.
어려운 경영환경 속에서도 매출 3조를 돌파하는 등 외형성장을 이뤘다. 영업이익은 고물가, 고금리 등 내수 경기 부진과 소비 심리 위축 영향으로 소폭 감소했다. 지난해 4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7.9%, 3.4% 증가한 8502억, 252억이다.
식자재 유통사업 매출은 2조3931억원으로 업계 1위 자리를 공고히 했다. 특히 급식시설 대상 식자재 매출이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였다.
고령화 시대를 맞아 노인 복지·요양시설 등 공급처와 물량이 동시에 늘어났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외식업체 대상 식자재 매출은 노모어피자, 세광양대창, 슬우캘리 등 대형 프랜차이즈 브랜드들을 수주하며 견고한 실적을 유지했다.
푸드 서비스(단체급식) 매출은 사업 호조에 힘입어 7781억원을 달성했다. 오피스, 산업체 등 구내식당 수요가 커지면서 관련 매출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양한 고객 취향에 따라 테이크아웃 코너, 사내 카페 등 부가 서비스 매출도 덩달아 올랐다. 스타 셰프 초청, 영화·드라마 IP 활용 이벤트 등 적극적인 마케팅 활동으로 고객 만족도와 수주 경쟁력을 높였다.
제조사업 매출은 536억원이다. 자회사 ‘프레시플러스’는 식품 및 유통기업에 소스, 시즈닝 등 여러 식자재들을 공급하고, R&D센터는 고객 맞춤형 상품을 개발하는 등 사업 안정화에 힘썼다. 지난해에는 소스 전문 공장(충북 음성 소재)이 본격적인 가동에 돌입하기도 했다.
CJ프레시웨이는 수익성 강화를 위해 상품·물류 등 근원적 경쟁력을 제고하는 한편, 신시장 창출 가속화에 집중할 계획이다. PB 등 차별화 상품 비중을 늘리고, 세분화된 고객 니즈에 따라 물류 서비스를 다각화하는 등 사업 역량을 한층 고도화한다.
또한 외부 플랫폼 연계 통한 고객 접점 극대화, 급식시장 세분화 및 신경로 개척 등에도 박차를 가할 방침이다.
임성철 CJ프레시웨이 최고재무책임자(CFO)는 “경기 불확실성이 커지는 가운데, 수익성 중심의 내실경영 전략을 펼치고 미래 성장 동력을 발굴하는 한편, 재무구조 개선 등 펀더멘탈 강화에도 힘써 시장 산업화에 앞장설 것”이라고 말했다.
- 펍지 스튜디오, 신작 'PUBG: 블라인드스팟' 체험판 공개
- 금호타이어 정일택 ‘리더십’…매출 5兆 시대 연다
- 우리금융 4분기 순익 급등 전망…자본비율 방어가 관건
- HD현대vs한화, 특수선 해외 비즈니스 '따로 또 같이'
- ‘갈 길 바쁜’ 현대제철, 노사 긴장 고조…11일 ‘총파업’ 치닫나
- 넥센타이어, '24년 영업익 1721억…전년비 7.9%↓
- 정월 대보름도 고물가…오곡·부럼 6.2%, 9.0% 올랐다
- 이재현 CJ회장, 2025년 현장경영 본격화… 신성장동력 직접 챙긴다
- 사용자 “부담 가중” vs 근로자 “부담 해소”…‘영양사·조리사 겸직 금지’ 논란
- CJ프레시웨이-서진푸드, 시흥에 실버 급식 조리시설 구축
- CJ프레시웨이, ‘푸드 솔루션 페어 2025’ 개최
- 삼성웰스토리, 중기∙스타트업과 손잡고 'K디저트' 글로벌 진출 지원
- CJ프레시웨이, ‘이츠웰 상큼한 토마토 소스’ 2종 출시...“배합·생산 자체 기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