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미령 농식품부 장관이 지난달 20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이 국내 농업계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해 "불확실한 상황"이라며 "어떤 상황이 있을지 모르니, 다각도로 대응책을 준비 중"이라고 말했다. [출처=농식품부]](https://cdn.ebn.co.kr/news/photo/202502/1651243_663746_4538.jpg)
농림축산식품부는 11일 오후 2시, 한국식품산업협회에서 송미령 농식품부 장관 주재로 17개 주요 식품 기업 대표 및 임원들과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CJ제일제당, SPC삼립, 남양유업, 농심, 동서식품, 동원 F&B, 대상, 롯데웰푸드, 롯데칠성음료, 매일유업, 빙그레, 삼양식품, 샘표식품, 오리온, 오뚜기, 일화, 풀무원식품이 참석했다.
이번 간담회는 △2025년도 식품산업 정책방향 설명 △업계 애로사항 청취 및 해결 방안 논의 △미국 신 정부 출범 등 대내·외 환경 변화 상황 공유 △물가 안정을 위한 정부와 업계 간 다양한 협력 방안 강구를 위해 마련됐다.
우선, 송 장관은 일부 원자재 가격상승 등 경영비 부담에도 불구하고 업계에서 제품 가격 인하, 할인행사 등으로 가공식품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대를 유지하고 있는 것에 대해 감사를 표명했다.
하지만 최근 △환율·유가·공급망 불안 등 대외 여건 변화 △코코아, 커피 등 원재료 가격 상승 △통상임금 개편에 따른 인건비 상승, 에너지 비용 증가 등에 따른 일부 가공식품 가격 인상에 대한 국민적 우려를 전달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 2022년 12월 10%에서 2023년 12월 4.2%, 2024년 12월 2.0%로 줄었고 지난달 2.7%로 소폭 상승했다.
업계는 가공식품 물가 안정을 위한 주요 식품 원자재에 대한 할당관세 적용, 대외 여건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수출 정책 지원 등 애로사항을 건의했다.
농식품부는 애로사항에 대한 해결책을 적극적으로 강구하겠다는 의지를 피력했다.
송미령 장관은 "기업의 원가부담 경감을 위해 주요 수입 원재료에 대한 할당관세 확대 적용, 수입부가가치세 면세 연장, 원료구입 자금 등을 지원하고 있다"며 "업계에도 제조 혁신, 기술 개발 등 생산성 향상으로 가격 인상 요인을 최소화하여 정부의 물가안정 정책 기조에 동참해 줄 것"을 당부했다.
또한, 농식품부는 업계와 지속적이고 긴밀한 소통을 통해 업계의 추가 애로사항을 발굴하여 해소 방안을 강구하는 등 식품업계 현안 해소를 위해 최선을 다할 계획임을 강조했다.
- "농관원에서 대(對) 인니 수출 농산물 안전성검사 받으세요"
- 롯데 신동빈의 선구안…‘관세전쟁 수혜국’ 인도에 선점 깃발
- 삼성, 뉴스위크 선정 '英 가장 신뢰받는 브랜드' 냉장고 1위
- GS25, 무신사와 전략적 제휴…내달부터 편의점서 무신사 상품 판매
- 연례행사 된 먹거리 가격 인상…정초부터 줄줄이 오른다
- 롯데칠성, 국내 종합음료기업 최초 연매출 4조원 돌파
- 대상, 공식 온라인몰 ‘정원e샵’ 개편…고객 편의성 극대화
- 동원그룹 "내실경영 통했다" 지난해 영업이익 8.4% 증가
- 오리온 창사 이래 첫 영업이익 5000억원 넘겨…매출 '3조클럽'
- 코코아, 재고는 없는데 가격은 천정부지…"합성 초콜릿으로 눈돌려"
- 농심, 2030년까지 유럽매출 4배로 키운다
- "국내선 답 없다"…식품업계, 해외 비중 확대 박차
- 남양유업, 200억 규모 자사주 추가 매입 결정
- '빙그레 그란폰도' 참가 접수 시작
- 던킨, 도넛·커피 가격 평균 6% 인상
- 삼양식품, 협력사 대상 품질안전세미나 개최
- 풀무원건강생활, 풀무원건강식물원 제품 5종 올리브영 입점
- 남양유업, 새 슬로건·CI ‘건강한 시작’ 공개…“브랜드 혁신·고객 만족 강화”
- 동서식품, 신제품 ‘포스트 크리치오 쿠키’ 출시
- 가공식품 가격 왜자꾸 올라?…공정위 '가격 담합' 조사 착수
- 빙그레, 66억 규모 자사주 소각
- [기자수첩] 보여주기용 물가안정 추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