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주택 시장이 심각한 위기에 직면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가 28일 발표한 1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준공 후에도 팔리지 않은 '악성 미분양' 주택이 2만2872가구에 달해 11년 3개월 만에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전체 미분양 주택은 7만2624가구로, 전월 대비 3.5% 증가했다. 이 중 수도권 미분양이 16.2% 급증한 반면, 지방은 0.6% 소폭 감소했다. 특히 경기도에서 가장 많은 미분양 주택이 쌓여있으며, 대구, 경북, 경남이 그 뒤를 이었다.
악성 미분양의 86%가 지방에서 발생했으며, 대구와 부산에서 각각 401가구, 382가구가 증가했다. 정부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를 통해 지방 미분양 3천가구 매입 등의 대책을 내놓았으나, 업계는 세제 혜택 부족 등을 이유로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건설경기 침체가 깊어지는 가운데, 주택 공급 선행지표도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1월 주택 인허가는 전년 동기 대비 13.0% 감소한 2만2452가구, 착공은 55.7% 급감한 1만178가구를 기록했다. 분양 실적 역시 46.2% 줄어든 7440가구에 그쳤다.
이러한 상황에서 중견 건설사들의 법정관리 신청이 잇따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상반기 중 법정관리를 신청하거나 부도·파산하는 건설사가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주택 거래 시장도 위축되고 있다. 1월 주택 매매거래는 3만8322건으로 전월 대비 16.5% 감소했으며, 서울의 경우 6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전월세 거래도 20만677건으로 전월 대비 7.9%, 전년 동기 대비 19.0% 줄었다.
주목할 만한 점은 전월세 거래 중 월세 비중이 59.2%로 전년 대비 3.3%포인트 증가했다는 것이다. 특히 전국 비아파트의 월세 거래 비중은 73.7%까지 상승했으며, 서울은 73.8%, 지방은 79.7%에 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