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 아마존이 자체 개발한 첫 양자컴퓨팅 칩 '오셀롯'(Ocelot)을 27일(현지시간) 공개했다. 이는 클라우드 서비스 시장에서 경쟁 중인 구글과 마이크로소프트(MS)가 최근 자체 양자 칩을 발표한 데 이은 행보로 해석된다.
아마존 클라우드 서비스(AWS)의 양자 하드웨어 책임자 오스카 페인터는 "효율적인 대규모 시스템 구축을 향한 발걸음을 내디뎠다"고 밝혔다. 그는 "5년 전에는 '양자컴퓨터를 만들 수 있을 것 같다'였지만, 오늘은 '우리는 양자컴퓨터를 만들 것이다'라고 확신을 갖고 있다"고 덧붙였다.
'오셀롯'은 전기적 진동을 만드는 장치인 '오실레이터'(oscillator)에서 이름을 따왔으며, 캘리포니아 공대 연구팀에 의해 개발됐다. 이 칩은 '슈뢰딩거 고양이' 실험에서 영감을 얻은 '캣 큐비트'(cat qubit) 기술을 기반으로 한다.
오셀롯 칩 1개에는 5개의 데이터 저장 큐비트, 안정화 회로, 그리고 오류 감지를 위한 4개의 추가 큐비트가 포함되어 있다. 아마존은 이 아키텍처가 양자컴퓨터 관련 부품 제작 비용을 90%까지 절감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양자컴퓨터는 0과 1이 동시에 존재하는 중첩, 얽힘 상태인 '큐비트'를 활용해 기존 컴퓨터보다 훨씬 더 많은 계산을 빠르게 처리할 수 있다. 그러나 큐비트의 불안정성 때문에 상용화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페인터는 "실용적인 양자컴퓨터는 10년에서 20년 이내에 등장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10년이라는 예상은 다소 공격적인 전망"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