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연합]
[출처=연합]

작년 한 해 동안 적발된 보험사기 금액이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9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작년 보험사기 적발 금액이 1조1502억 원으로 전년 대비 3.0% 증가했다. 이는 이전까지 최고 기록을 경신한 것이다. 적발된 인원은 10만8997명으로 전년도에 비해 0.5% 감소했다.

보험사기의 유형별로 살펴보면 진단서 위·변조 등을 통한 사고내용 조작 유형이 전체 적발 금액의 58.2%인 6690억 원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그 뒤를 허위 사고가 20.2%(2325억 원), 고의 사고가 14.7%(1691억 원)로 따랐다.

보험 종목별로는 자동차보험이 전체 적발 실적의 절반에 가까운 49.6%(5704억 원)를 차지했고, 장기보험이 그 뒤를 이어 42.2%(4853억 원)를 기록했다.

연령대별 분석에서는 특히 눈에 띄는 변화가 있었다. 지난해 대비 60대 이상의 사기 적발 인원이 무려 13.0% 증가하면서 총 인원의 약 25.7%를 차지했다. 이와 대조적으로, 상대적으로 젊은 세대인 20~30대에서는 고의충돌이나 음주·무면허 운전 등 자동차 관련 사기가 주류를 이뤘다.

직업군별로 보면 회사원이 전체에서 가장 많은 비중인 24.3%였으며, 무직·일용직(11.0%)과 주부(9.2%) 등이 뒤따랐다. 그러나 전년 대비 무직·일용직 및 학생들의 보험사기는 각각 감소했지만 반대로 보험업 종사자 및 관련 직종에서는 각각 증가세를 보였다.

금융감독원은 이러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최근 증가하는 보험사기의 연령별 특성을 고려한 예방 홍보 활동을 강화할 예정이다. 기획조사를 통해 주요 보험사기 유형에 대한 맞춤형 대응책 마련에도 힘쓸 계획이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