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명품 브랜드들이 최근 뷰티 시장으로 관심을 돌리고 있다. [출처=연합]](https://cdn.ebn.co.kr/news/photo/202503/1654535_667451_810.jpg)
글로벌 명품 브랜드들이 최근 뷰티 시장으로 관심을 돌리고 있다. 명품 가방 및 액세서리의 매출이 주춤한 가운데, 성장세가 두드러진 뷰티 사업에서 새로운 기회를 모색하기 위함이다.
10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루이비통은 올해 가을 '라 보떼 루이비통' 컬렉션을 발표하며 코스메틱 시장에 발을 들인다. 이 프로젝트는 유명 메이크업 아티스트 데임 팻 맥그라스가 이끌 예정이다. 피에트로 베카리 루이비통 회장은 "라 보떼 루이비통은 우리의 철학과 창의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이정표"라고 강조했다.
또 프랑스 명품 그룹 케링은 2023년에 별도 법인 케링보테를 설립하고 럭셔리 향수 브랜드 크리드를 인수하며 뷰티 사업 강화를 추진 중이다. 프라다도 국내에서 '프라다 뷰티'를 론칭하고 매장을 확장하고 있다.
명품 업계의 이러한 움직임은 최근 패션 부문 매출 감소와 대조적으로 화장품 부문의 성장세가 두드러지기 때문이다. LVMH의 지난해 매출은 전년 대비 1.7% 감소했지만, 향수 및 화장품 부문은 2% 성장했다.
백화점에서도 비슷한 경향이 나타났다. 롯데백화점의 명품 화장품 매출은 약 20% 증가했으며, 신세계와 현대백화점 역시 각각 16.3%, 24.0% 늘어났다.
명품 업계 관계자는 “경기가 어려운 시기에도 립스틱 등의 소형 제품 판매는 꾸준하다”며 “뷰티 시장으로 눈을 돌리는 것은 안정적인 수익 확보를 위한 전략”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 발란-실리콘투, 전략적 투자유치 마무리…글로벌 명품시장 공략 속도
- 떠오른 '스몰 럭셔리' 열풍…경기 침체 속 명품 화장품 인기
- 명품 플랫폼 발란, 실리콘투로부터 150억원 투자 유치
- 프라다, 2조3천억원에 베르사체 인수 가시화
- 중국發 훈풍 불까 …유통ㆍ면세ㆍ뷰티업계 감도는 ‘한한령 해제’ 기대감
- 봄 성수기 요동치는 화장품株…상반기 주가 방향키는 중국 손에
- 구찌, 신세계백화점 본점 구찌 여성 스토어 리뉴얼 오픈
- 미중 갈등에 글로벌 명품 시장도 ‘지각변동’...‘脫중국' 본격화
- [현장] 韓 직진출 니치향수 ‘바이레도’, K고객 접점 확대 ‘시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