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이 3월 말께 미국을 방문한다. 해외 첫 전기차 전용 신공장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yundai Motor Group Metaplant America, HMGMA) 준공식에 참석하기 위해서다.
미국은 현대차그룹의 최대 실적을 이끈 핵심 시장으로, 최근 관세 리스크에 직면해 있다. 이에 정 회장은 이날 준공식에서 현대차그룹이 미국 내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트럼프 2기 행정부와 물밑으로 접촉할 것으로 보인다.
17일 <EBN> 취재에 따르면 정 회장은 오는 3월 말께 열릴 미국 조지아주 전기차 신공장 ‘HMGMA’ 준공식 참석을 잠정 확정했다.
이에 현대차그룹은 산업부 장·차관, 주미대사, 국회의원 3~4명 및 주요 경제 단체장 등 국내 주요 인사와 준공식 참석 여부를 조율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 회장은 이날 준공식에 참여해 현대차그룹이 미국에서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기여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향후에도 미국 사회에 이바지하기 위해 투자할 계획이 있음을 언급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해당 행사에 직접 참석할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알려졌다. 대신 트럼프 2기 행정부 주요 인사가 HMGMA 준공식에 참여해 현대차그룹과 물밑 접촉을 할 것으로 점쳐진다.

지난 2022년 5월, 현대차그룹은 6조3000억원을 투자해 미국 조지아주에 전기차 공장 및 배터리셀 공장을 짓겠다고 결정했다. 이중 HMGMA는 현대차그룹 최초의 전기차 양산 공장으로, 연산 30만대 생산을 목표로 착공에 돌입한 바 있다.
HMGMA는 전통 자동차 공장과는 다른 제조 시스템을 도입한 것이 특징이다. 주문 수집, 조달, 물류 및 생산과 같은 모든 생산 프로세스는 AI와 데이터를 활용해 최적화한다. 투입된 로봇은 근로자를 보조하며 업무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인간 중심의 작업 환경을 만드는 데 일조한다.
지속 가능성에 대한 그룹 노력도 돋보인다. 이 공장은 시설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재생 에너지를 사용한다. 앞서 현대차그룹은 스페인 재생에너지 개발업체 ‘매트릭스 리뉴어블스(Matrix Renewables)’와 147MW(메가와트) 규모의 전력구매계약을 체결했다. 이를 통해 연간 14만톤 규모의 탄소 저감 효과를 누린다는 계획이다.
전기차 전용 공장으로 출발했지만, 미국 내 하이브리드차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향후 HMGMA는 혼류 생산 체제를 갖춘다. 향후 연산 50만대의 생산능력(CAPA)을 보유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이를 통해 8500개의 일자리를 직접 창출한다는 계획이다.

HMGMA는 향후 미국 전기차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현대차그룹의 핵심 축이다. 미래 자동차 시장이 내연기관차에서 전기차로 전환될 것임이 예고됨에 따라, 글로벌 2위 자동차 시장에 현지 생산 체제 구축을 결정한 것이다.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발효도 투자에 불을 지폈다. 미국이 직접 생산하는 전기차에 최대 7500달러(1000만원) 규모의 보조금을 지급하겠다고 예고한 것. 이에 정 회장은 당시 방한 중인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만나 50억달러(7조2300억원) 규모의 미국 투자를 결정한 바 있다.
하지만 전기차에 부정적인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출범하면서 IRA 축소 및 폐지를 논의하고 있다. 급증하던 전기차 수요가 둔화하게 된 것.
게다가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내에서 자동차를 생산하는 체제를 구축하지 않으면, 오는 4월부터 수입차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압박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현대차그룹은 HMGMA를 혼류 생산 공장으로 탈바꿈한다. 최근 미국에서 수요가 늘고 있는 하이브리드차를 생산해 HMGMA의 쓰임새를 높인 것이다.
HMGMA는 직간접 고용 효과도 뛰어나다는 점을 적극 어필할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2기 행정부가 미국 내 일자리 창출 등에 기여한다면 그에 걸맞은 보상을 할 것임을 강조하고 있어서다.
해외 자동차 연구기관 오토모티브 리서치는 현대차그룹의 HMGMA 투자가 연간 4만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분석한 바 있다.
업계 관계자는 "HMGMA가 미국 투자 모범 사례라는 점은 이견이 없다"면서도 "다만, 관세는 국가 정책의 영역이다. 우리 정부가 발 벗고 나서서 미국을 설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현대차·기아, 국내 전기차 시장 점유율 70% 회복
-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올해부터 현·기·모 보수 모두 받는다
- 송호성 기아 사장 "대외 불확실성에도 올해 판매 322만대 전망"
-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강조한 품질…美서 또다시 '입증'
- 제네시스, 中서 렉서스와 정면승부 '예고'
- 현대차그룹, GBC에 축구장 2배 크기 공원 조성한다
- 현대차, 수소 사업 본격 '드라이브'…첫 女 사내이사 선임도
- 호세 무뇨스 현대차 사장 "HMGMA 투자, 트럼프 1기에 결정" 강조
- [스케치] 수소 사업 드라이브 '현대차'…글로벌 리스크 현지화로 '돌파'
- "사람처럼 움직인다"…보스턴다이나믹스, '아틀라스' 영상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