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ADM바이오가 발표한 ‘가짜내성 치료제 페니트리움’의 삼중음성유방암(TNBC) 전임상 결과는 암 전이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연구의 구체적인 자료는 미국 시카고에서 개최되는 2025년 미국암연구학회(AACR)에서 공개될 예정이다.
이번 실험은 노드큐어(NodCure)가 수행했으며, C57BL/6 암컷 마우스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파클리탁셀 단독투약군과 페니트리움 병용투약군을 비교했다. 그 결과 파클리탁셀 단독투약군은 종양 크기가 무투약군 대비 4.55% 감소했고, 전이는 오히려 115.13% 증가했다.
반면에 페니트리움 병용투약군에서는 종양 크기가 최대 36.22% 감소하고 전이가 85.78% 감소했다.
페니트리움은 기존 항암제가 가진 세포외기질(ECM)에 의한 약물 전달의 한계를 극복한다. 이 치료제는 ECM을 유연화하여 항암제와 면역세포가 암세포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해 가짜내성을 제거한다.
페니트리움은 암세포가 새로운 장기에 뿌리를 내리지 못하도록 ‘전이 전 니치’ 형성을 차단하는 전략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전략은 기존 항암치료의 한계를 넘어 원발암과 전이암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는 방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또한 비소세포폐암(NSCLC) 동물모델에서도 베바시주맙과 병용 시 전이율 0%를 기록하며 MMP-9 및 VEGF 발현 억제를 통해 분자적 메커니즘도 입증됐다.
삼중음성유방암은 고위험 전이성 암종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페니트리움은 이러한 어려운 치료 영역에서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준다.
김수정 현대ADM 신약개발 부문장은 “이번 연구 결과는 세계 최초로 실질적인 증거를 제공하며, 페니트리움은 병용 약물의 효과를 정상화하는 새로운 항암 전략”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현대ADM과 현대바이오는 다양한 암종에 대해 페니트리움 병용 임상 전략을 확대하며 글로벌 제약사와 협력할 계획이다.
- 피플바이오, 혈액검사로 알츠하이머병 조기 예측 가능성 입증
- HLB發 불안감 확산…‘FDA 승인 좌초’ 후 바이오 투심 위축
- HK이노엔, 일본 신약개발기업 라퀄리아 지분 인수…1대 주주 확보
- 셀트리온 스테키마, 美 코스트코 판매…조기 시장 선점
- 삼진제약, 조규석·최지현 대표이사 선임…책임경영 강화
- 덴티스, RFA 고정도 측정기 ‘첵큐’ 美 FDA 판매 허가 획득
- 동아제약, 산불 피해 지역에 의약품 지원 나서
- 제일약품, 한상철 사장 공동대표 선임 “책임경영 강화”
- 제약·바이오 주총 시즌 본격 개막…지배구조 변화 주목
- 유한양행 폐암 치료제 ‘렉라자’ 첫 완치 사례 보고
- 현대바이오, 이지은 해외개발·전략마케팅 상무 영입
- 현대ADM, 가짜내성 치료제 '페니트리움' 병용투약 연구 발표
- 현대바이오 "코로나19 치료제 글로벌 임상 2/3상 착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