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호성 기아 사장 [출처=기아]](https://cdn.ebn.co.kr/news/photo/202504/1658612_672236_1240.jpg)
기아가 올해 영업이익률 목표를 두 자릿수인 11.0%로 제시했다. 판매 목표 또한 지난해 대비 상향한 321만6000대를 유지하며 외형적 성장을 자신했다.
기아는 투자자와 애널리스트 등을 대상으로 9일 ‘2025 CEO 인베스터 데이’를 개최했다. 이날 기아는 2025년의 구체적인 사업 계획과 중장기 재무 목표에 대한 발표도 진행했다.
2025년 글로벌 자동차 수요는 전년 대비 0.3% 증가한 약 8460만대로 전망된다. 이에 기아는 전년 실적 대비 4.1% 늘어난 321만6000대를 판매(도매 판매 기준, 소매 317만대)하고 글로벌 자동차 시장 점유율은 3.7%를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올해는 ▲시로스, 타스만, EV4, EV5, PV5 등 5개의 신모델 ▲카렌스(카렌스 EV) 등 1개의 상품성 개선 모델 ▲EV9 GT, K4 5DR, EV4 5DR 등 3개의 파생 모델을 선보인다.
국내 시장은 올해 EV4, EV5를 출시해 EV 대중화를 이끈다. 또한, 타스만과 PV5의 런칭으로 픽업 및 신시장 창출을 통해 55만대 판매(소매 기준), 시장점유율 34.0%를 목표하고 있다.
관세 리스크로 주목도가 쏠리는 미국에서는 주력 차종인 쏘렌토, 텔루라이드의 판매 경쟁력을 유지하고, 스포티지 상품성 개선 모델을 통해 성장 모멘텀을 지속한다. 또한, 현지 정책, 제도, 시장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84만3000대 판매, 시장점유율 5.1%로 성장을 유지한다는 계획이다.
유럽은 55만 8000대, 시장점유율 3.7%를 목표로 내걸었다. 이를 위해 EV3 판매를 확대하고 EV4, EV5를 성공적으로 출시해 강화된 배출가스 규제에 대응하는 한편, 성공적인 PV5 런칭을 통해 PBV 사업을 본격화한다.
인도는 카렌스 상품성 개선 모델과 1월에 출시한 시로스 등 신차를 통해 30만대를 판매하고 6.9%의 점유율을 달성하는 것을 목표하고 있다. 특히 신규 딜러 확보를 통한 딜러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서비스 역량을 높여 고객 중심 브랜드로 거듭날 계획이다.
중국에서는 내수 시장의 치열한 경쟁환경을 고려해 8만대 판매를 유지했다. 다만, 해외 수출은 전년비 7% 증가한 18만대로 끌어올리는 등 공장 가동률 향상을 통해 수익성을 제고할 계획이다.
2025년 재무 목표는 ▲매출액 112조5000억원(전년 실적 대비 4.7% 증가) ▲영업이익 12조4000억원(2.4% 감소) ▲영업이익률 11.0%(0.8% 포인트 감소)를 제시했다.
지난해 고수익 달성 요인을 ▲제품력 중심 브랜드로의 성장 ▲상품 부가가치 개선 및 차량 가치 상승 ▲효율적 투자, 혼류 생산 체제를 통한 구조적 원가 우위 확보 등 3가지로 보고, 올해도 글로벌 자동차 업체의 평균 수익을 상회하는 실적 성장세를 이어간다는 전략이다.
![[출처=기아]](https://cdn.ebn.co.kr/news/photo/202504/1658612_672240_1417.jpg)
중장기 목표로는 ▲2027년 375만대 ▲2030년 419만대, 시장점유율 4.5% 달성을 목표로 제시했다.
친환경차 판매는 2025년 89만7000대(판매 비중 28%)에서 오는 2030년 233만3000대(비중 56%)까지 늘릴 계획이다. 이 중 전기차는 125만9000대를, 하이브리드 및 플러그인 하이브리드는 107만4000대를 판매할 방침이다.
중장기 목표 달성의 핵심 요소로 ▲하이브리드 판매 확대와 원가 절감 등을 통한 수익성 강화 ▲차세대 배터리 전략 및 전기차 판매 확대, 원가 개선 등을 통한 EV 수익성 제고 ▲SDV 사업 모델 전환에 따른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을 꼽았다.
2029년까지 향후 5년간 투자 계획을 수정했다. 기존 5개년(2024~2028년) 계획 대비 4조원이 증가한 총 42조원을 투자하겠다고 밝힌 것이다.
미래사업에 대한 투자는 19조원이며, 세부적으로는 전동화 67%, SDV 9%, AAM·로보틱스 8%, 에너지 5%, 모빌리티 3%, 기타 7%의 비율로 각각 투자할 계획이다.
중장기 판매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4가지 핵심 상품 전략으로 ▲커넥티비티 서비스 ▲자율주행 기술 ▲퍼포먼스(성능) ▲디자인을 꼽고 이에 전사적인 역량을 동원해 상품 가치를 지속적으로 발전시키고 있다.
OTA(Over-the-air) 기술 확대로 장소에 관계없이 소프트웨어를 최신 상태로 유지하는 등 공간의 제약을 극복하는 한편, 23년부터 한국과 미국, 유럽에 커넥티드 스토어를 출시해 디지털 형태의 FoD(Features on Demand) 상품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커넥티드카 서비스(CCS)를 24년 말 기준 34개국에서 26년 말까지 아프리카, 중동, 아태, 중남미 등으로 확대해 총 71개국까지 서비스하는 것을 목표로 커넥티드카 서비스를 고도화할 계획이다.
미래 상품의 핵심인 자율주행, 자율주차 기술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중장기적으로 자체 자율주행 소프트웨어를 고도화하고, 데이터, 인프라, 산업표준 기술 등은 파트너십을 통해 확보함으로써 차세대 상품 방향성인 SDV와 연동해 자율주행 기술을 지속 개발할 예정이다.
신규 파워트레인 개발을 통해 미래 친환경 차량 수요에 유연하게 대응해 나갈 계획이다. 신규 가솔린 2.5 터보 엔진을 개발하고 이를 중심으로 주행 효율을 높인 차세대 하이브리드 시스템 및 EV와 내연기관의 장점을 결합한 EREV 시스템을 전개한다.
아울러 최적화된 재료 조합을 통한 높은 에너지 밀도, 개선된 저온 성능을 확보한 5세대 배터리를 개발해 전기차 성능을 극대화할 방침이다.
![[출처=기아]](https://cdn.ebn.co.kr/news/photo/202504/1658612_672242_1554.jpg)
성공적인 SDV 전환을 위해서는 현대차그룹의 글로벌 소프트웨어 센터인 42Dot과 협력해 SDV(소프트웨어 중심 자동차) 핵심 요소기술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그룹의 선행 연구조직인 AVP본부와 긴밀한 연계를 통해 모빌리티 서비스 및 솔루션 분야에서도 SDV 혁신을 함께 이끌어갈 예정이다.
특히, ▲차량 핵심 성능을 구현하고 지속적인 업데이트를 가능케 하는 ‘전기전자 아키텍쳐’ ▲안정적이고 끊김 없는 사용 환경을 제공하는 ‘SDV 운영체제’ ▲직관적이고 초개인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등의 핵심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세 가지 핵심기술을 통합해 2026년에는 차량용 고성능 컴퓨터 기반의 전기·전자 아키텍처(컴퓨터 시스템)를 적용한 SDV 페이스 카(Pace Car)로 자율주행 AI 기능을 구현하고, 이후 SDV 양산 체제 및 소프트웨어 생태계를 구축한다.
아울러 미래 기술의 중장기적 적용과 새로운 수익 모델을 만들기 위해 모셔널, 보스턴다이나믹스, 슈퍼널 등 주요 기업에 적극 투자하고 있다.
모셔널의 경우, 라스베이거스, 피츠버그에서 로보택시 시범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기아와의 협력을 통해 자율주행 기술 고도화를 지속해 나갈 예정이다.
보스턴 다이나믹스의 경우, 물류센터에 스트레치(Stretch) 로봇을 도입하고, 최종 배송 단계에서 PBV와 스팟(SPOT)을 활용한 물류 자동화를 추진하고 있다.
슈퍼널과의 협업을 통해서는 VIP 의전이나 응급의료 이송서비스 등에서 PBV와 연계한 지상-도심항공 간 멀티모달 서비스 제공을 검토하고 있다.
또 주주가치 극대화를 위한 주주 환원 정책도 지속적으로 펼친다.
연 10% 이상의 매출 성장, 10% 이상의 영업이익률 달성, 자기자본이익률 (ROE) 15% 이상의 효율적인 자본 운영을 통해 27년까지 총 주주환원율(TSR, 배당 및 자사주 매입·소각분) 35%를 목표하고 있다.
배당 우선 정책으로 주주들에게 안정적인 이익 환원을 위해 최소 주당 배당금을 5000원으로 확정하고 배당 성향을 최소 25% 이상으로 설정했다. 아울러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자사주는 연중 상·하반기 분할 매입해 100% 소각하는 등 시장의 기대에 부응하는 적극적인 주주 환원 정책을 펼칠 예정이다.
송호성 기아 사장은 “기아는 지난 2021년 ‘기아 트랜스포메이션(Kia Transformation)’을 선포한 이후, 단순 이동 수단을 넘어, 공간을 혁신하고 시간을 가치 있게 만드는 브랜드가 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 왔다”며 “앞으로도 내실을 강화하고 자동차 시장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중장기 전략을 실행함으로써 브랜드의 발전을 지속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송호성 기아 사장 "플랜 S 전략 지속…EV·픽업·PBV 등 라인업 확대"
- 기아, 2030 전략 수정…'하이브리드車' 글로벌 확대한다
- 정부·현대차그룹, 유동성 3兆 긴급 지원…"美 관세 대응"
- "위기를 기회로" 현대차·기아, 美 중장기 전략 돌입 배경
- [스케치] 서울 모빌리티쇼, '車=모터쇼' 공식 파괴
- "배터리산업協·코엑스·자동차환경協, EV 트렌드 코리아 공동 주관"
- [EBN 오늘(9일) 이슈 종합] 증권업 IB 개선안 나왔다…산업계 경영진 '자사주 매입' 러시 등
- [스케치] "AI로 미래 모빌리티 사고 막는다"
- 트럼프式 '오락가락' 관세 발표…산업계 혼란 '가중'
- 현대차그룹, 중소 협력사와 '북미 WCX' 동반 진출
- 기아, 완성차 업계 첫 'AI 고객센터' 도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