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그룹 협력사관’에 마련된 중소 부품협력사들의 부스에서 협력사 대표와 관계자 등이 바이어들과 수출 관련 상담을 하고 있는 모습.[출처=현대차그룹]
‘현대자동차그룹 협력사관’에 마련된 중소 부품협력사들의 부스에서 협력사 대표와 관계자 등이 바이어들과 수출 관련 상담을 하고 있는 모습.[출처=현대차그룹]

 

현대자동차그룹이 중소 부품 협력사들의 해외 시장 개척을 위해 다시 한 번 발벗고 나섰다.

현대차그룹은 24개 중소 부품협력사와 함께 지난 8~10일(현지 시간) 미국 미시간주 디트로이트 헌팅턴 플레이스에서 개최된 북미 최대 모빌리티 기술 전시회 ‘WCX(World Congress Experience) 2025’에 공동 참가했다고 13일 밝혔다.

현대차그룹은 ‘현대차그룹 협력사관(HYUNDAI MOTOR GROUP PARTNERS)’이라는 이름으로 전시관을 구성하고, 협력사별 개별 부스를 제공해 글로벌 바이어들과의 상담을 지원했다.

이번에 참여한 협력사들은 동일기계공업, 세인아이앤디, 성원피에프, 광성강관공업, 성림첨단산업 등 자동차 핵심 부품을 생산하는 강소기업들이다. 이들은 전시 기간 동안 미국, 일본, 독일, 사우디아라비아 등 주요국 84개 기업과 상담을 진행했고, 일부 기업은 구체적인 계약 일정까지 협의 중이다.

특히, 협력사들은 단순한 제품 소개를 넘어 글로벌 완성차 및 1차 벤더들과의 기술 교류, 신규 파트너십 발굴 등 실질적인 비즈니스 협력을 위한 다양한 논의를 펼쳤다. 이는 협력사들이 단독으로는 얻기 어려운 기회로, 현대차그룹이 글로벌 진출의 ‘교두보’ 역할을 했다는 평가다.

세인아이앤디 오원현 대표는 “미국 시장에서는 현지 공장이 없는 중소기업들이 관세 영향을 직격으로 받는다”며 “이번 전시회를 통해 미국 내 완성차업체들과 실질적인 대응 전략을 논의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성림첨단산업 배효근 차장은 “현대차그룹과 공동 참가한 덕분에 우리 기술을 신뢰할 수 있는 방식으로 설명할 수 있었고, 그 자체로 브랜드 신뢰도가 크게 높아졌다”며 “무역 불확실성이 큰 현 시점에서 이런 수출 마케팅은 매우 현실적인 도움이 된다”고 전했다.

현대차그룹은 전시관 제공 외에도 중소 부품사들이 글로벌 시장에 안착할 수 있도록 별도의 세미나도 개최했다. 세미나는 주요국 정책 변화와 한국정부 지원사업, 글로벌 바이어의 구매 방향성, 시장별 진출 전략 등을 중심으로 구성돼 협력사들에게 실질적인 정보를 제공했다.

이러한 노력은 일회성 행사에 그치지 않는다. 현대차그룹은 이번 WCX 2025에 이어 인도, 일본, 독일에서 열리는 글로벌 전시회에도 협력사들과 함께 참가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보다 많은 해외 시장에서 협력사들이 경쟁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도울 예정이다.

실제 현대차그룹은 2018년부터 매년 미국, 중국, 러시아, 프랑스 등지에서 글로벌 전시회를 협력사들과 공동으로 참여해왔다. 지난 7년간 전시회 참여를 통해 체결된 수출 계약은 약 900억 원에 이른다. 이는 현대차그룹이 단순한 ‘주문자’가 아니라, 협력사와의 공동 성장을 실현하는 ‘파트너’라는 점을 방증한다.

한 글로벌 완성차업체 바이어는 “현대차그룹 전시관에서 우수한 한국 협력사들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었다”며 “여러 업체들과 협력 가능성을 구체적으로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우수한 기술을 보유했지만 정보와 네트워크 부족으로 해외 진출에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들이 많다”며 “앞으로도 협력사들이 현대차그룹의 이름을 발판 삼아 세계 시장에서 인지도와 신뢰도를 동시에 확보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