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케스트라프라이빗에쿼티가 KFC코리아 매각을 공식화했다. [출처=연합뉴스]](https://cdn.ebn.co.kr/news/photo/202504/1658872_672538_634.jpg)
오케스트라프라이빗에쿼티(오케스트라PE)가 KFC코리아 매각을 공식화하면서 지난해부터 본격화한 가맹사업 확대가 사실상 매각을 위한 사전 포석이었다는 분석에 힘이 실린다.
실적 개선과 외형 확장을 통해 기업가치를 끌어올린 뒤 엑시트(투자금 회수)를 시도하는 사모펀드 특유의 전략이지만, 그 후폭풍은 가맹점주들에게 불확실성과 부담으로 돌아오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11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오케스트라PE는 삼일PwC를 매각 주관사로 선정하고 KFC코리아 매각 작업에 착수했다. 2023년 약 1000억원을 투입해 KG그룹으로부터 지분 100%를 인수한 지 2년 만의 엑시트 시도다.
IB 업계에서는 KFC코리아의 지난해 상각전영업이익(EBITDA)을 약 460억원 수준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약 10배 멀티플이 적용될 경우 매각가는 4600억원 안팎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KFC코리아는 인수 이후 저수익 매장의 구조조정, 메뉴 리뉴얼, 마케팅 전략 재정비 등으로 실적 개선을 이뤘지만, 이보다 결정적인 변화는 '가맹사업 확대'다. 지난해 4월부터 본격적으로 가맹사업에 돌입한 KFC는 현재까지 약 15개 가맹점을 신규 오픈했고, 장기적으로는 500곳 이상의 가맹점 확보 계획도 공개했다.
일각에서는 이를 두고 사모펀드의 전형적인 엑시트 구조가 적용된 사례라고 분석하고 있다.
직영 중심의 자산 무거운 모델에서 벗어나, 가맹 중심의 가벼운 구조로 전환함으로써 기업가치를 높이고 매각 매력도를 높이는 방식이다. 사업 모델 전환은 '자본적지출(CAPEX) 부담 최소화'와 '고정비 절감' '수익 구조의 가시화'라는 세 가지 목표를 충족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IB 업계에서도 이 같은 사업 모델 전환이 매각 밸류에이션에 긍정적으로 작용한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실제 과거 버거킹은 앵커PE가 인수 후 구조를 정비한 뒤 어피니티에쿼티파트너스에 약 12배 멀티플로 매각됐다.
문제는 이 같은 전략 변화의 부담이 고스란히 가맹점주에게 전가될 수 있다는 점이다. 가맹사업 초기 단계에 계약한 점주들은 본사의 '성장 시나리오 실험대'에 오른 셈이지만, 본사 소유권이 바뀌면 기존 약속이나 정책이 변경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특히 프랜차이즈 사업 구조상 본사 매각은 단순한 지배주체 변경을 넘어, 로열티 정책, 물류 단가, 마케팅 비용 분담 등 운영 전반의 변화로 이어질 수 있다. 사모펀드가 새로운 투자자에게 지분을 넘길 경우, 해당 투자자는 수익성을 더욱 높이기 위한 구조조정에 나설 가능성이 높다는 얘기다.
가맹사업 초기에는 점포 확대를 위해 본사에서 임대 지원, 마케팅 보조, 로열티 유예 등 유화적인 조건을 제시했을 가능성이 크다. 하지만 KFC코리아를 인수할 새로운 투자자가 등장할 경우 이러한 특례 조항이 유지될지는 불확실하다.
신규 투자자가 수익률 개선을 위해 로열티 인상, 물류 마진 조정 등 '정책 리셋'을 시도할 경우, 가장 큰 부담은 가맹점주가 떠안게 된다.
특히 KFC는 과거 글로벌 본사의 정책 제약으로 인해 국내 가맹사업 전개에 어려움을 겪어왔다. 오케스트라PE는 인수 과정에서 얌브랜즈 측과의 협상을 통해 매장 운영 자율권을 확보했지만, 새로운 인수자가 이 권리를 어떻게 사용할지는 아직 미지수다.
가맹점 입장에서는 '계약 상대가 바뀌는 것' 자체가 리스크로 받아들여진다. 본사가 제시했던 지원책이나 우대조건이 사라질 수 있고, 향후에는 브랜드 전략, 메뉴 가격, 광고 운영 등의 방향성도 전면 수정될 수 있다. 그러나 점주들은 본사 정책에 대한 협상력이나 거부권이 사실상 없다.
업계 관계자는 "사모펀드는 실적을 끌어올린 뒤 빠르게 투자금 회수에 나서는 구조를 선호한다"며 "KFC의 가맹 확대 역시 엑시트를 염두에 둔 수순으로 해석되며, 점주 입장에서는 소유권 변경 이후의 정책 리스크를 대비해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오케스트라PE의 매각 작업은 아직 초기 단계에 있지만, 매각 논의가 본격화될수록 가맹점주들이 체감하는 정책 불확실성은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
- 민병덕 “MBK, 홈플러스에 1조 투자·2조 사재 출연하라”…전방위 압박 예고(종합)
- 홈플러스 "경영악화 원인, 인수금융 아냐…인위적 구조조정도 없었다"
- '매각설' 카카오엔터, 몸값 11조원 현실성은?
- KFC, 10개월 만에 또 가격 인상…핫크리스피치킨 300원 올려
- 가맹사업 성장세 '주춤'…브랜드 수 첫 감소, 평균 매출은 증가
- 버거·치킨플레이션에 이중가격제까지…외식 부담 가중
- 외식 프랜차이즈 가맹점, 투자금 회수까지 평균 31개월 소요
- 맘스터치 日상륙 1년 "연간 70만명 찾는 K푸드 랜드마크 등극"
- 버거킹, 4일부터 '7꽉 통새우와퍼 세트' 프로모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