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J대한통운이 국내 물류업계 최초로 ‘AI 기반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로 물류 혁신의 새로운 장을 연다. 단순 자동화에서 벗어나 인공지능 기반의 자율 운영체계를 구축한다는 구상이다. .
CJ대한통운은 로봇 플랫폼 전문기업 레인보우로보틱스와 물류용 AI 휴머노이드 로봇 공동 개발 및 상용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사는 물류 산업 특성에 최적화된 AI 기반 로봇 솔루션을 공동 개발하고, 반복적이고 단순한 수작업을 대체할 수 있는 휴머노이드 로봇을 상용화하는 데 주력한다. 특히 실제 물류 현장 적용 가능성을 염두에 둔 혁신 기술 구현에 초점을 맞춘다.
물류 산업은 다양한 상품을 실시간으로 처리해야 하는 특성상 자동화의 난이도가 높다. 제조업처럼 정형화된 공정을 반복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에 사람처럼 판단하고 동작하는 휴머노이드 로봇이 가장 적합한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로봇 도입을 위해 물류센터 구조를 변경할 필요가 없고, 공정 유연성과 확장성 측면에서도 이점이 크다.
레인보우로보틱스는 협동로봇과 자율이동로봇(AMR), 이동형 양팔로봇 등 다양한 하드웨어 기술을 기반으로 CJ대한통운 물류 환경에 적합한 로봇 플랫폼을 공동 개발하며, 현장 실증을 통해 기술 완성도를 높일 예정이다.
CJ대한통운은 실제 물류센터 내 수작업 공정을 선별해 테스트를 진행하고, 기술의 실효성을 검증한다. 자체 개발한 AI 기반 소프트웨어 기술을 로봇에 적용하고, 레인보우로보틱스의 플랫폼과 연동되는 고도화된 기능도 구축할 계획이다.
특히 주목할 점은 CJ대한통운이 자체 개발 중인 ‘에이전틱 AI(Agentic AI)’ 기술이다. 기존처럼 명령을 수동적으로 따르는 방식이 아니라, 실시간 데이터 분석을 통해 자율적으로 사고하고 판단하며 작업을 수행하는 고도화된 인공지능이다. 이는 물류 전 과정의 자율 운영체계를 실현하는 핵심 기술로 평가된다.
양사는 올해 말부터 현장 실증 프로젝트에 돌입할 예정이며, 도출된 기술 성과는 단계적으로 주요 물류센터에 적용될 계획이다. 이후 본격적인 상용화에 나선다는 목표다.
CJ대한통운 김정희 연구소장은 “이번 협약은 단순 자동화를 넘어서, 스스로 판단하고 움직이는 AI 로봇을 물류 현장에 투입하는 국내 첫 시도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AI와 로보틱스 융합을 통해 차세대 물류 패러다임을 선도하겠다”고 밝혔다.
레인보우로보틱스 허정우 연구소장은 “이번 협력은 휴머노이드 로봇이 작업자를 보조하는 수준을 넘어, 실제 작업 주체로 기능할 수 있는 개발의 출발점”이라며 “물류 분야에서 축적한 기술을 기반으로 제조, 헬스케어, 서비스 등으로도 플랫폼을 확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