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연합]
[출처=연합]

내수 침체가 심각해지면서 국내 자영업자들이 평균적으로 소득의 3배가 넘는 부채를 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조국혁신당 차규근 의원이 한국은행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말 기준 자영업자의 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LTI)는 344.5%로 집계됐다.

자영업자가 연 소득의 3.4배에 달하는 규모의 빚을 지고 있다는 뜻이다. 이는 같은 시점 비(非) 자영업자의 LTI(220.0%)보다 월등히 높은 수치다.

자영업자의 LTI는 지난 2022년 4분기 말 350.0%로 고점을 찍은 뒤 지난해 3분기 말 344.4%까지 7분기 연속 하락세를 이어왔다.

지난해 4분기 말 자영업자의 전체 대출 잔액은 1064조2000억원, 차주 수는 311만5000명으로 각각 집계됐다.

이를 소득 분위별로 살펴보면 고소득(상위 30%)·중소득(30~70%) 자영업자와 달리 저소득(하위 30%) 자영업자만 빚이 늘어났다. 

고소득 자영업자 대출 잔액은 지난해 3분기 말 737조원에서 4분기 말 736조8000억원으로, 중소득 자영업자 대출 잔액은 194조3000억원에서 192조2000억원으로 각각 줄었다.

반면 저소득 자영업자 대출 잔액 133조1000억원에서 135조3000억원으로 홀로 늘었다. 상대적으로 소득이 적은 취약 자영업자들이 경기 불황을 대출에 의존해 힘겹게 버티는 상황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수치라는 게 차 의원의 설명이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키워드
#자영업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