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해군성 존 펠런 장관(오른쪽 첫 번째)과 한화그룹 김동관 부회장(오른쪽 두 번째)이 한화오션 거제사업장에서 ‘유콘’함 정비 현장을 둘러보고 있다.[출처=한화오션 ]
미국 해군성 존 펠런 장관(오른쪽 첫 번째)과 한화그룹 김동관 부회장(오른쪽 두 번째)이 한화오션 거제사업장에서 ‘유콘’함 정비 현장을 둘러보고 있다.[출처=한화오션 ]

존 펠런(John C. Phelan) 미국 해군성 장관이 지난달 30일 오후 한화오션 거제사업장을 방문했다.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은 현장에서 존 필린 장관을 만나 한·미 조선업 협력 방안에 대해 심도 깊은 논의를 진행했다.

펠런 장관은 김 부회장의 안내로 한화오션이 현재 MRO(유지·보수·정비) 작업 중인 미국 해군 7함대 소속 급유함 '유콘(Yukon)'함을 시찰했다. 유콘함은 지난해 11월 한화오션이 수주했으며, 수리를 마친 후 오는 5월 출항을 앞두고 있다.

이어 필린 장관은 거제사업장의 잠수함 건조 구역과 상선 건조 구역 등 주요 생산 시설을 둘러보며 한화오션의 조선 역량을 직접 확인했다.

그는 "미국 해군과 대한민국 해양 산업과의 관계는 선박 정비를 넘어 자유롭고 개방적인 인도-태평양 지역(free and open Indo-Pacific)을 위한 양국 의지를 굳건히 받쳐주는 초석이며, 양국간의 동맹 관계를 더욱 강화해줄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에 김 부회장은 "한화오션은 한국 기업 최초로 미국 내 조선소를 인수했을 뿐만 아니라 미국 해군 MRO 사업도 성공적으로 완수함으로써, 한·미 해양 방산 협력의 선두주자로 자리매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또 김 부회장은 "한화오션은 미국 해군의 전략적 수요에 맞춰 어떤 상황에서도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건조 체계를 완비하고 있으며, 미국 내 여러 조선소를 확보하여 시너지를 극대화하고 북미 시장에서의 입지를 더욱 강화할 계획"이라며, 한·미 조선업 협력에서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임을 강조했다. 

한화오션은 지난해 8월 미 해군 군수지원함 '월리 쉬라'호의 MRO 사업을 수주해 지난 3월 성공적으로 인도한 바 있다. 정비 과정 중 추가 정비 소요를 발견해 수정 계약을 체결하며, 문제 해결 능력과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한화오션과 한화시스템은 지난해 12월 한국 기업 최초로 미국 필리조선소를 인수하며 미국 조선 시장에 본격 진출했다. 이 인수는 한화의 글로벌 해양 방산 입지 확대를 위한 전략적 전환점으로 평가된다.

한화는 이와 함께 호주 조선사 오스탈(Austal) 지분도 19.9%까지 확보 중이며, 오스탈이 보유 중인 미국 앨라배마주 모빌,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 등지에 조선 인프라를 통해 글로벌 해양 방산 네트워크를 확장하고 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