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여름철 농산물 안전관리 대책을 강화한다. [출처=연합뉴스]
정부가 여름철 농산물 안전관리 대책을 강화한다. [출처=연합뉴스]

정부가 여름철을 맞아 곰팡이와 잔류농약으로부터 국민 먹거리를 지키기 위한 농산물 안전관리 대책을 강화한다.

농림축산식품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처는 6월부터 9월까지 4개월간 곰팡이 발생 우려가 높은 품목을 중심으로 농산물 안전성 검사를 집중 실시한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점검은 고온다습한 여름철 환경에서 곰팡이 발생 가능성이 높은 곡류·두류와 소비량이 많은 채소류·과일류에 중점을 둔다. 검사 항목은 아플라톡신·오크라톡신A 등 곰팡이독소와 터부포스·포레이트 등의 잔류농약이며, 총 2,800건 이상의 검사가 이뤄질 예정이다.

검사는 생산 단계부터 유통 단계까지 전 과정에 걸쳐 진행되며, 기준치를 초과한 농산물에 대해서는 회수, 폐기, 출하연기 등의 조치를 통해 부적합 제품의 유통을 사전에 차단할 방침이다.

정부는 이번 안전관리 강화 조치를 위해 관계기관 합동으로 '농산물 안전 중점관리팀'을 구성해 운영 중이다. 이 팀에는 농식품부, 식약처, 농촌진흥청,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지방자치단체, 농협 등이 참여해 범부처 협업 체계를 구축했다.

농식품부와 식약처는 “국민이 믿고 소비할 수 있는 안전한 농산물을 공급하기 위해 관계기관과 긴밀히 협력할 것”이라며 “특히 보관 환경이 중요한 곡류·견과류는 15℃ 이하, 습도 60% 이하에서 저장하고, 땅콩 등 껍질이 있는 농산물은 껍질째 보관하는 것이 곰팡이 예방에 효과적”이라고 당부했다.

이번 조치는 농산물의 품질과 소비자 신뢰를 동시에 확보하려는 정부의 식품 안전정책 강화 움직임의 일환으로 해석된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