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수공통감염병대책위원회가 열리고 있다. [출처=농식품부]
인수공통감염병대책위원회가 열리고 있다. [출처=농식품부]

 

정부가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의 사람 감염 가능성이 커지는 가운데 인수공통감염병에 대한 범부처 대응 체계를 점검하고 통합 대응 강화에 나섰다.

농림축산검역본부와 질병관리청은 6월 4일 충북 오송에서 관계부처와 민간 전문가들이 참여한 가운데 '2025년 제1차 인수공통감염병 대책위원회'를 공동 개최했다.

대책위원회는 2004년부터 운영돼 온 범정부 협의체로, 사람과 동물 간 인수공통감염병 대응을 위한 협력 채널이다.

이번 회의에서는 특히 최근 국내외에서 조류인플루엔자의 종간전파 및 인체 감염 사례가 늘고 있는 점을 고려해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를 핵심 의제로 다뤘다.

최근 겨울철 동안 국내에서는 가금류와 야생조류뿐 아니라 야생 삵에서도 감염 사례가 보고됐으며, 해외에서는 미국 젖소농장을 비롯해 멕시코의 3세 여아 사망 사례까지 발생한 바 있다.

이번 회의에는 농식품부, 환경부, 해양수산부, 행정안전부, 식약처 등 관계부처와 국군의학연구소,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 국립수산과학원 등 60여 명이 참석했다.

회의에서는 △야생조류 고병원성 AI 대응 현황 △포유류 감염 사례 및 모니터링 현황 △해양포유류 감염병 예찰 계획 △인수공통결핵 발생 보고 등이 발표됐으며, 총 9개 과제가 서면 및 현장 발표 형태로 공유됐다.

특히 반려동물 중심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종간전파와 관련해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송대섭 교수가 전문가 강연을 통해 최신 연구 내용을 소개하며, 사람-동물-환경을 연결하는 '원헬스(One Health)' 접근법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김정희 농림축산검역본부장은 "사람 감염을 줄이기 위해 동물 단계에서의 조기 감시와 신속한 대응이 핵심"이라며 "관계부처와 함께 통합 감시체계를 더욱 고도화하겠다"고 밝혔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도 "종간전파가 현실화된 지금, 인수공통감염병 대응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감시와 예방체계를 촘촘히 구축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보건당국은 조류인플루엔자의 인체 감염 사례에 대한 감시도 강화 중이다. AI 바이러스는 일반적으로 사람에게 전파되지 않지만, 최근 H5N1, H5N6, H7N9 등 일부 아형이 종간 장벽을 넘어 사람을 감염시키는 사례가 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감염자 격리 및 항바이러스제 처방, 밀접접촉자 관리, 역학조사 등 대응 체계를 고도화하고 있다.

현재 국내에는 AI 인체 감염 예방을 위한 백신은 상용화돼 있지 않아, 개인위생 수칙 준수와 고위험 지역 방문 자제가 권고되고 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