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SK바이오팜]
[출처=SK바이오팜]

SK바이오팜, 첫 단독 부스 참가…글로벌 시장 공략 가속

SK바이오팜은 오는 16일부터 19일까지 미국 보스턴에서 열리는 ‘2025 바이오 인터내셔널 컨벤션’(이하 바이오USA)에 참가한다고 밝혔다. SK바이오팜은 이번 행사에서 처음으로 단독 부스를 운영하며 글로벌 시장 내 비즈니스 확장과 파트너십 발굴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바이오USA는 미국바이오협회(BIO, Biotechnology Innovation Organization)가 주관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바이오 전시회로 전 세계 65개국 이상에서 2만여 명의 업계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유망 기술과 협력 기회를 탐색하는 글로벌 바이오산업의 핵심 무대다.

SK바이오팜은 글로벌 제약·바이오 업계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기업의 브랜드 이미지와 신뢰도를 제고하고 1대1 비즈니스 미팅 및 부스 전시 등을 통해 신규 협력 기회를 적극 탐색할 계획이다.

부스 디자인은 SK바이오팜을 상징하는 주황색을 포인트 컬러로 사용하고 부드러운 곡선을 기반으로 모든 방향에서 시인성을 좋게 설계해 접근성과 고객 친화성을 표현했다.

이번 전시에서 SK바이오팜은 ‘환자 중심’이라는 핵심 가치를 바탕으로 ‘SK, For Patients, For Life’라는 슬로건 아래 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SK바이오팜의 혁신 철학을 다각도로 소개한다.

자체 개발한 뇌전증 혁신 신약 세노바메이트(미국 제품명 엑스코프리)의 미국 시장 성공 경험을 기반으로 글로벌 확장 가능성을 강조한다.

이동훈 SK바이오팜 사장은 “바이오USA는 글로벌 시장에서 SK바이오팜의 성과와 비전을 알릴 수 있는 중요한 자리이자, 새로운 성장 기회를 모색할 수 있는 플랫폼”이라며 “앞으로도 환자 중심 혁신을 최우선 가치로 삼아, 더 많은 환자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치료 솔루션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출처=이엔셀]
[출처=이엔셀]

이엔셀, 글로벌 CDMO 수주 확대 논의

이엔셀은 2025 바이오USA에서 참가해 본격적인 글로벌 파트너링에 나선다.

이엔셀은 이번 행사에서 국내외 기업들과 수주 계약을 맺고 있는 첨단바이오의약품 CDMO 사업 분야의 현재 수주 현황 및 성장 가능성 등을 자세히 소개하는 한편 지난 2월 FDA로부터 샤르코마리투스병 환자 대상으로 희귀의약품으로 지정된 EN001의 모멘텀을 적극 홍보할 계획이다.

이엔셀은 이번 행사에서 글로벌 바이오기업들과 비즈니스 파트너링도 진행하며 적극적인 회사 홍보를 통해 글로벌 CDMO 수주 및 라이선스아웃(License-out) 기회 모색에 전력을 다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글로벌 파트너십을 강화하고 회사의 강점인 세포유전자치료제 CDMO 및 AAV CDMO 수주를 위해 여러 글로벌 기업들과 미팅을 진행한다.

이엔셀 관계자는 "이엔셀은 국내를 선도하는 첨단바이오의약품 CDMO 및 신약개발 전문기업으로서 이번 2025 바이오USA에서 회사의 강점을 적극적으로 알리는 한편 가시적 성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출처=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출처=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항체신약·CDMO 글로벌 파트너십 본격화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그룹은 바이오 USA에 참가해 항체 기반 신약과 CDMO 사업의 글로벌 파트너십 확대에 나선다.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그룹은 바이오 USA에 4년 연속 대규모 단독부스로 참가한다.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는 약 120㎡ 규모의 단독 부스를 통해 자사 핵심 파이프라인과 기술 역량을 집중적으로 소개할 예정이다.

그룹 신약 개발을 주도하는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IDC는 지난해에 이어 두 번째로 바이오 USA에 참가한다. R&D 전략을 이끄는 고상석 대표이사가 직접 참석해 혁신신약연구원의 오픈이노베이션 전략과 연구 중인 신약후보물질 개발 협업을 위한 파트너링을 진두지휘한다.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가 보유한 항체 기반 핵심 기술과 이를 활용한 다양한 오픈이노베이션 공동개발 플랫폼을 중심으로 주요 글로벌 제약사 및 바이오텍들과의 파트너링 미팅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외에도 마이클 루퍼트 국제사업개발 총괄 디렉터, 줄리앙 레아 상업 총괄 디렉터 등 글로벌 사업개발 핵심 인력이 동행한다.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가 개발 중인 췌장암 항체신약 PBP1510 기술이전 미팅과 고형암을 타깃으로 한 PBP1710의 소개를 중점적으로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글로벌 제약사들과의 위탁개발생산(CDMO) 사업 관련 미팅도 예정돼 있다. 최근 중국 CDMO 기업이 생산한 항체의약품을 제한하는 생물보안법이 재추진됨에 따라 가격경쟁력과 글로벌 생산규모를 갖춘 프레스티지바이오로직스에게는 절호의 사업기회가 될 전망이다.

중국 기업의 단가와 미국 기업의 품질을 모두 충족할 수 있는 회사의 장점을 내세워 대규모 트랙레코드를 달성하는 데 총력을 기울인다는 전략이다.

박소연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그룹 회장은 “바이오 USA는 미국 시장에 회사를 각인시키는 전 세계 제약·바이오기업의 각축장으로 항체신약의 라이선스 아웃과 CDMO 수주 등 전략적 파트너십을 성사시킬 수 있는 절호의 기회”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