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물가 안정을 위해 농업 부문에 1862억원 규모의 추경을 편성했다. [출처=농식품부]](https://cdn.ebn.co.kr/news/photo/202506/1667074_682075_3510.jpg)
정부가 기후 변화로 인한 재해와 물가 불안에 대응하기 위해 농업 부문에 총 1862억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을 편성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19일 국무회의에서 확정된 2025년도 제2회 추경안을 통해, 농업 인프라 확충과 농업인 경영 회복, 식품 물가 안정을 위한 6개 주요 사업에 예산을 투입한다고 밝혔다.
이번 추경은 농업용 수리시설과 배수로 개보수 등 재해예방 중심의 농업 기반 시설을 보강하고, 축산농가의 조기 회복과 계란 공급 여력 확대, 식품기업의 원재료 수급 안정 등을 위한 융자 지원이 포함됐다.
기후 위기에 대응한 농업 기반 강화를 위해 정부는 농업용 수리시설 개보수 사업에 816억원을 추가 편성했다. 이는 노후 수리시설(수원공, 용·배수로)에서 발생하는 누수나 붕괴 위험을 해소하고, 가뭄과 홍수 등 재해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조치다.
배수개선 사업에도 250억원이 반영됐다. 상습 침수지역의 농경지를 중심으로 배수로 확충과 배수장 정비가 이뤄지며, 이를 통해 집중호우에 따른 작물 피해 최소화와 논 타작물 기반 확대가 기대된다.
정부는 노후 방조제 보강을 위한 '국가지방관리방조제 개보수 사업'에 150억원을 추가 편성했다. 해안 인근 저지대 농경지를 보호하고 태풍·해일 등 해양 재난에 대비하기 위한 목적이다.
고강도·고빈도 가뭄에 대비한 '농촌용수개발 사업'에도 222억원이 투입된다. 용수원 개발과 관로 설치 등을 통해 안정적인 농업용수 공급망을 구축해 기후 변화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할 계획이다.
정부는 대설과 산불 피해를 입은 특별재난지역의 축산농가를 대상으로 한 시설 신·재축 지원에도 224억원을 편성했다. 산란계 사육면적 기준(0.05→0.075㎡/마리)을 충족시키기 위한 시설 개선도 병행돼 계란 공급 안정에 기여할 전망이다.
가공식품 물가 안정을 위해 식품외식종합자금 융자 사업에도 200억원이 추가됐다. 국산 농산물을 원재료로 사용하는 중소·중견 식품기업을 대상으로, 제품 가격 인하 또는 동결을 유도해 서민 생활물가 부담을 완화한다는 방침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이번 추경은 민생 안정과 기후 위기 대응을 위한 농업 SOC 투자, 축산농가 경영 정상화, 식품업계의 가격 안정 등 다방면에서 국민 체감도를 높이기 위한 것"이라며 "추경 집행에 속도를 내 농업인과 소비자 모두가 효과를 실감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