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지난해 서울 서초구 aT센터 농산물 온라인도매시장에서 열린 ‘농수산물 수급안정 및 유통구조 개선방안 현장 설명회’에서 강도형 해양수산부 장관과 합동 발표를 하고 있다. [출처=농식품부]](https://cdn.ebn.co.kr/news/photo/202506/1667878_683042_2024.jpg)
농림축산식품부는 농업인과 소비자 모두가 체감할 수 있는 농식품 수급 안정과 유통구조 개편을 위해 '농식품 수급·유통구조 개혁 TF'를 구성하고 본격적인 개선 작업에 착수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TF는 농산물, 축산물, 식품·외식 등 3개 분야로 나뉘며, 각 분야별로 '수급안정 소분과'와 '유통구조개선 소분과'를 별도로 구성해 농식품 수급 안정과 불합리한 유통 관행 개선을 동시에 추진할 계획이다.
농식품부는 새 정부 출범 이후 물가 안정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아진 상황을 반영해, 농축산물의 품목별 수급 상황과 리스크 요인을 사전에 점검하고 이를 기반으로 월별 수급 대책을 선제적으로 수립·시행하기로 했다.
농식품부는 유통 과정에서 경쟁을 저해하거나 소비자 부담을 가중시키는 불합리한 유통 사례가 없는지 전방위로 점검할 방침이다. 특히 가공식품 유통 부문에서도 시장 왜곡이나 비합리적인 관행이 지속되고 있는지를 체계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개선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이번 TF는 농업인과 소비자가 모두 체감할 수 있는 현장 중심의 실질적인 해결책을 찾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며 "제도·행정 개선뿐 아니라 인공지능(AI) 기술과 데이터 기반 유통관리, 직거래 및 산지 유통 활성화, 가격 투명성 제고 등 미래 지향적인 유통 시스템 전환도 함께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종구 농식품부 식량정책실장도 "농식품 유통 혁신을 통해 합리적인 경쟁이 가능한 시장을 만들고, 안정적인 수급과 투명한 가격 체계를 구축해 농업인과 소비자가 모두 만족할 수 있는 구조로 개편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농식품부는 이번 TF를 통해 수급 불안정 및 유통 문제를 체계적으로 진단하고, 농식품 시장의 근본적인 체질 개선에 속도를 낼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