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 [출처=MBK파트너스]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 [출처=MBK파트너스]

홈플러스의 대주주인 MBK파트너스의 김병주 회장이 1조원 이상 규모의 사재 출연 요청을 사실상 거부한 것으로 전해졌다.

19일 정계와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김 회장은 지난 13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일부 의원들과 비공개 면담을 갖고 홈플러스 정상화 방안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이 자리에서 김 회장은 MBK가 보유한 홈플러스 보통주(약 2조5000억원 규모)를 전량 무상 소각해 인수합병(M&A)을 최대한 지원하겠다고 설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추가로 1조 원이 넘는 개인 자산을 투입하는 방안은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뜻을 전달했다.

김 회장은 만약 새 인수자를 찾지 못할 경우, 홈플러스를 청산하지 않고 채권자와 협의해 자체 회생 절차를 추진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현재 홈플러스의 총 채무는 약 2조9000억원에 달한다. 경영 정상화를 위해 약 1조7000억원의 신규 자금 투입이 필요하다는 것이 업계의 공통된 분석이다.

앞서 김 회장은 홈플러스의 법정관리(기업회생절차) 개시 후 사재 출연을 통해 경영 정상화를 위해 힘쓰겠다고 밝혔고, 실제로 소상공인 거래처에 대한 대금 변제를 돕기 위해 400억원을 증여했다. 추가로 600억원의 대출 지급보증을 서기도 했다.

그러나 최근 홈플러스의 청산 가치가 존속 가치보다 높은 것으로 평가되면서 MBK는 법원의 회생계획 인가 전에 새 인수자를 찾는 ‘인가 전 M&A’를 통해 해결책을 모색하기로 했다. 김 회장 측도 이 같은 구조에서는 추가 사재 투입이 실효성이 낮다고 판단한 것으로 해석된다.

인가 전 M&A 방식은 기존 대주주의 지분을 모두 소각하고 신주를 발행해 새로운 주주에게 매각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인수자가 납입하는 자금은 전액 홈플러스에 유입돼 재무구조 개선과 경영 정상화에 활용된다.

MBK파트너스는 "해당 사안에 대해 아직 공식 입장을 밝힌 바 없다"면서 "특정 결정을 내린 것처럼 전달된 내용은 사실과 다르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