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는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 속에서 새 주인을 찾기 위한 본격적인 매각 작업에 나섰다. [출처=연합뉴스]
홈플러스는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 속에서 새 주인을 찾기 위한 본격적인 매각 작업에 나섰다. [출처=연합뉴스]

홈플러스가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 속에서 새 주인을 찾기 위한 본격적인 매각 작업에 돌입했다. 기존 소유주인 MBK파트너스가 2조5000억원 규모의 지분을 전량 소각하는 배수진을 치며 매각 성사 가능성을 끌어올리고 있다. 이번 결단으로 홈플러스의 인수 몸값은 1조원 미만으로까지 떨어질 것이란 관측이 나오면서 국내 유통업계 빅딜 성사 여부에 시장의 관심이 집중된다.

15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사모펀드 MBK파트너스는 지난 2015년 홈플러스를 7조2000억원에 인수했으나 이후 10년간 매각 실패와 유통시장 부진 속에 회생절차까지 돌입했다. 끝내 MBK는 기존 지분을 모두 소각하고, 신주 발행을 통해 신규 인수자를 찾는 ‘인가 전 M&A’ 방식을 선택했다.

이번 방식은 기존 투자자의 출자금 전액 손실을 감수하는 한편, 신규 인수자가 회사를 인수하며 자금을 투입하는 구조다. 이 과정에서 홈플러스의 희망 매각가는 기존 수조원대에서 대폭 하향 조정돼 1조원 안팎으로 평가받고 있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MBK 입장에서 펀드 투자 손실을 모두 반영하는 초유의 결정”이라며 “홈플러스 경영정상화의 유일한 해법으로 M&A에 사활을 걸고 있다”고 평가했다.

MBK와 홈플러스는 최근 서울회생법원에 인가 전 M&A 승인을 신청했으며, 법원의 승인은 빠르면 다음 주 중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홈플러스는 전국 126개 대형마트와 308개 SSM(기업형슈퍼마켓)을 운영 중으로 폐업 시 파급 효과가 커 회생을 우선시하는 분위기다.

현재 유통업계에서는 네이버, GS, 한화 등이 유력 인수 후보군으로 거론된다. 특히 홈플러스의 오프라인 전국망이 이커머스와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어 쿠팡이나 알리익스프레스 등 글로벌 전자상거래 업체들의 참여 가능성도 주목된다.

홈플러스가 최근 진행한 임대료 인하 협상도 매력적인 매물로 만들고 있다. 삼일회계법인에 따르면, 일부 점포는 최대 50%까지 임차료가 인하돼 운영 부담이 줄어든 상황이다.

다만 M&A 성사까지 넘어야 할 산도 적지 않다. 이커머스 확장과 소비침체 여파로 오프라인 유통업 전반이 침체를 겪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정부 집계에 따르면 대형마트 매출은 최근 3개월 연속 감소했고, 경쟁사인 이마트와 롯데마트도 부실 점포 정리에 나섰다.

삼일회계법인 보고서에 따르면, 홈플러스의 청산가치는 3조7000억원으로 사업 계속가치(2조5000억원)를 상회한다. 이로 인해 MBK는 ‘청산보다 회생이 유리하다’는 논리를 내세워 M&A를 추진 중이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저평가된 홈플러스 인수를 통해 온·오프라인 유통 지형을 새로 짜겠다는 기업이 결국 주인이 될 것”이라며 “유통업 혁신 청사진을 제시하는 기업에 무게가 실릴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