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출처=연합]](https://cdn.ebn.co.kr/news/photo/202506/1667623_682754_3716.jpg)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의약품에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강경 발언을 이어가고 있지만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는 비교적 차분한 분위기다.
미국 시장에서의 낮은 수출 비중과 글로벌 제약사에 의존한 간접 수출 구조, 사전 마련된 대응책 덕분에 관세가 부과된다고 해도 타격은 제한적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기 때문이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는 미국 중심의 보호무역 기조를 강화할 것임을 강조하며 약가인하 정책을 포함해 의약품 고율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는 메시지를 반복적으로 내고 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17일 캐나다에서 열린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 참석한 후 조기 귀국 중 “의약품 관세를 곧 발표할 계획”이라고 말했으며, 앞서 지난달 5일에는 “2주 이내 의약품 관세 발표”를 예고하기도 했다.
하지만 최근까지도 구체적인 정책안이나 실행 계획은 발표되지 않았다. 이에 따라 업계에서는 ‘실제로 관세가 부과될 것’이라는 전망과 함께 ‘단순 발언에 그칠 것’이라는 회의적인 시각이 엇갈리고 있다.
이 가운데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는 상대적으로 느긋한 상황이다. 국산 의약품의 경우 미국 전체 의약품 수입에서 약 1.6%의 점유율에 불과하기 때문에 미국의 통상 압박 타깃으로 삼기에는 경제적 실효성이 떨어지는 수준이라는 게 이유 중 하나다.
또 국내 바이오 기업들의 미국 수출은 대부분 글로벌 빅파마(거대 제약사)를 통한 간접 판매 구조를 띠고 있다.
국내 기업은 다국적 제약사가 라이선스 인하거나 공동개발 계약을 통해 미국 시장에 출시하는 방식이 일반적인 만큼 관세의 부담은 글로벌 파트너사 측에서 발생하게 된다. 즉, 국내 기업에는 직접적인 가격 인상이나 수익 악화로 이어지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다.
특히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은 트럼프 대통령의 의약품 관세에 일찍부터 다양한 대응책을 준비해왔기 때문에 관세가 실제 도입되더라도 즉각적이고 심각한 충격은 제한적일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실제 셀트리온과 SK바이오팜 등 국내 기업들은 관세 대응 준비는 끝난 상황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이희영 대신증권 연구원은 “관세 및 약가 인하 정책에 대한 우려는 이미 대부분 시장에 선반영된 상태”라며 “법적 제약과 실행 가능성의 한계로 실제 영향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국내 제약바이오는 미국 수출 비중이 낮고 위탁개발생산(CDMO)과 바이오시밀러, 기술수출 중심의 사업 구조를 갖추고 있어 트럼프 정책의 직접적인 타격에서 비교적 자유롭다”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