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연합]](https://cdn.ebn.co.kr/news/photo/202507/1671418_687212_2134.jpg)
국내 주요 기업들의 8월 경기전망이 여전히 어둡게 나타났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따른 대외 불확실성과 내수 부진이 겹치며 제조업과 비제조업 전반에 침체 우려가 확산하고 있다.
한국경제인협회는 매출액 기준 6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2025년 8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 전망치는 92.6으로, 기준선 100을 다시 하회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로써 BSI는 2022년 4월(99.1) 이후 3년 5개월 연속 기준선 밑돌며 장기 침체를 이어가고 있다.
7월 실적치는 90.0으로 조사됐다. 이 역시 2022년 2월(91.5) 이후 3년 6개월 연속 부진세다.
![[출처= ]](https://cdn.ebn.co.kr/news/photo/202507/1671418_687213_227.png)
업종별로 보면 제조업과 비제조업 모두 침체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제조업 BSI는 87.1로, 2024년 4월부터 1년 5개월 연속 기준선을 밑돌고 있다. 특히 80대 수치가 2개월 연속 이어진 것은 2023년 12월(89.9), 2024년 1월(84.2) 이후 처음이다.
반면 7월에 기준선 100을 웃돌았던 비제조업 BSI는 103.4에서 98.3으로 하락, 부정적 전망으로 돌아섰다.
제조업 세부 업종 10개 가운데 △의약품(125.0)과 △전자·통신장비(111.1), △식음료·담배(100.0)를 제외한 7개 업종이 모두 부진할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섬유·의복·가죽·신발 업종은 50.0으로 가장 낮았다.
■트럼프 관세 여파에 수출 제조업 '심리 위축'
한경협은 미국의 관세 압박이 수출 기업들의 심리를 더욱 위축시키고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8월 1일부터 25% 상호관세 현실화 가능성이 커지며, 기업들의 경기 전망에 부정적 영향을 주고 있다.
비록 △의약품과 △반도체 업종이 상대적으로 호조 전망을 보였지만, 한경협은 이들 역시 트럼프 대통령이 품목별 관세 부과를 예고한 상황이라 "일시적인 밀어내기 수출 효과에 불과하다"고 진단했다.
■운수·창고 BSI 15P 급락…내수·수출·투자 모두 부정
비제조업 세부 업종 7개 중에서는 △여가·숙박·외식(123.1), △도소매(110.6)가 호조를 보였다. 이는 계절 수요와 정부의 추경, 민생지원금 등 내수 활성화 정책에 따른 영향으로 분석된다. △전기·가스·수도는 100.0으로 기준선에 걸쳤다.
그러나 나머지 4개 업종은 모두 부진이 예상된다. 특히 운수‧창고 업종은 7월 111.5에서 8월 96.0으로 급락, 수출 감소에 따른 부정 전환이 두드러졌다.
8월에는 조사 대상 모든 부문에서 부정적 전망이 나타났다. 내수(91.7), 수출(92.3), 투자(92.3) 모두 2024년 7월부터 1년 2개월 연속 부진세다.
![[출처= ]](https://cdn.ebn.co.kr/news/photo/202507/1671418_687214_2226.png)
이상호 한국경제인협회 경제산업본부장은 "트럼프발 관세 폭탄과 극심한 수요 부진이 우리 경제와 기업을 매우 어려운 상황으로 몰아넣고 있다"며 "확장적 재정정책을 유지해 내수 급랭을 막고, 통상환경 개선을 위한 정부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