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대한상의]
[출처=대한상의]

국내 반도체 등 일부 수출 업종이 회복세를 보이며 기업 체감경기가 소폭 개선됐다. 하지만 美 관세 압박·중동발(發) 지정학 리스크·내수 침체라는 삼중고가 발목을 잡으며 전반적인 경기 회복 기대감은 제한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전국 2186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조사한 '2025년 3분기 기업경기전망지수(BSI)' 결과 지수가 81로 집계됐다고 29일 밝혔다.

전분기(79)보다 2포인트 상승했지만 기준치(100)에는 16분기 연속 못 미쳤다.

부문별로는 △수출 BSI가 87 △내수는 79로 모두 부진했다. 특히 내수기업은 건설경기 침체와 소비 위축 영향으로 체감경기가 더 악화된 양상이다. 기업 규모별로는 대기업이 89로 상대적으로 높았고 중견기업은 77, 중소기업은 81에 그쳤다.

업종별로는 관세 예외 혜택을 본 반도체(109)·제약(109)·화장품(113) 업종이 높은 전망치를 기록했다. 특히 반도체는 전분기 대비 22포인트 상승하며 1년 만에 기준선을 넘겼다. AI 산업 확산과 고부가가치 제품 수요 증가가 수출 회복을 견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출처=대한상공회의소]
[출처=대한상공회의소]

화장품 업종은 관세 부담에도 유럽·중동 시장으로 수출을 다변화한 효과가 반영됐다. 올해 1~5월 수출액 증감률은 △對유럽 40.7% △對중동 65.6%로 높은 성장세를 기록했다.

반면 관세 부담이 큰 철강(67), 자동차(76) 업종은 침체가 뚜렷했다. 5월 기준 대미 수출 증감률은 △철강 –16.3% △자동차 –27.1% △자동차부품 –5.8%로 감소폭이 컸다. 철강은 중국·일본산 우회수입까지 겹치며 내수시장도 위축됐다.

정유·석유화학(72), 비금속광물(51) 업종은 산업 구조적 부진과 유가 변동성·건설경기 침체 여파로 체감경기가 크게 악화됐다.

■제주·강원 '반도체·관광' 선방…인천·대구는 최하위권

지역별로는 반도체 수출 비중이 높은 제주(100)가 유일하게 기준선을 회복했다. 식음료 업황 개선과 함께 체감경기가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강원(97)은 여름철 관광수요와 소비심리 개선 기대감에 상대적 선방을 보였다.

반면 △인천(63)은 기계장비와 자동차·부품 업종 부진, △대구(64)·경북(69)은 철강·섬유 침체 영향으로 하위권에 머물렀다. △울산(75)·경남(79)은 철강·자동차·석유화학 등 주력 업종 전반의 부진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 △전남(83)은 석유화학 수요 둔화와 공급과잉 여파로 호남권 중에서도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2025년 상반기 실적을 묻는 설문에선 제조기업의 54.1%가 매출 목표 달성이 어려울 것이라고 답했다. 이 중 △목표 대비 10% 이상 미달은 16.4%, △10% 이내 소폭 미달은 37.7%로 집계됐다. 목표 달성에 성공한 기업은 33.3%에 불과했다.

올해 상반기 실적에 영향을 준 주요 리스크로는 △내수 부진(64.7%)이 가장 많이 지목됐다. 대외 요인으로는 △원자재가 상승(30.9%) △해외 수요 부진(23.8%) △환율 변동(19.3%) △관세조치(18.0%) 순으로 나타났다.

[출처=대한상공회의소]
[출처=대한상공회의소]

강석구 대한상의 조사본부장은 "반도체 등 일부 업종은 회복 조짐을 보이고 있지만, 관세 부담에 따른 수출감소 우려는 여전하다"며 새 정부의 경제정책에 대한 기대가 살아있는 만큼 국회와 정부가 하반기 경기회복 모멘텀을 살릴 수 있는 정책적 뒷받침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강 본부장은 이어 "통상 불확실성 해소, 규제 개선과 함께 고효율 신제품·노후설비 교체 지원, 투자 인센티브 확대 등 과감한 내수활성화 대책을 통해 민생경제와 기업 심리 회복을 적극 유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