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동대문구 청량리종합시장에 민생회복 소비쿠폰 관련 안내문이 붙어 있다. [출처=연합뉴스]
서울 동대문구 청량리종합시장에 민생회복 소비쿠폰 관련 안내문이 붙어 있다. [출처=연합뉴스]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전통시장과 골목상권 활성화에 뚜렷한 성과를 거둔 것으로 조사됐다.

소상공인연합회와 전국상인연합회는 지난 5일부터 7일까지 도·소매업, 숙박업, 식음료업, 교육서비스업 등 일반 골목상권과 전통시장에서 영업하는 소상공인 2035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조사 결과 응답자의 55.8%가 소비쿠폰 사용 이후 매출이 증가했다고 답했다. 특히 매출이 늘어난 사업장 가운데 51.0%는 10~30%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업종별로는 도매업이 68.6%로 가장 높은 매출 증대 비율을 보였고 식음료업이 52.6%로 뒤를 이었다.

방문 고객 수 변화도 긍정적이었다. 전체 51.8%의 사업장에서 방문 고객이 늘었으며, 이 중 절반 이상(52.1%)이 10~30% 증가했다고 응답했다.

응답자의 75.5%는 소비쿠폰이 전통시장과 골목상권 이용을 유도하는 데 효과적이었다고 평가했고, 63.0%는 소비 진작에도 도움이 됐다고 밝혔다.

정책 인지도는 99.5%로 대부분이 해당 제도를 알고 있었다. 만족도 역시 70.3%로 높게 나타났다. 응답자의 70.1%는 향후 유사 정책의 추가 시행 필요성에 동의했다.

다만, 개선이 필요한 부분으로 '골목상권 중심의 사용처 제한'(49.8%)과 '쿠폰 금액 확대'(47.4%)가 주로 지적됐다.

송치영 소상공인연합회장은 "민생회복 소비쿠폰은 단순한 소비 촉진을 넘어, 소상공인들이 위기를 극복하고 재도약할 수 있는 중요한 발판"이라며 "정책이 실질적인 경기 회복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지속 추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