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출처=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출처=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최근 미 이민당국에 의해 한국인 노동자 300여 명이 구금된 사건과 관련해 “한미 관계는 흔들리지 않을 것”이라고 진화에 나섰다. 그러나 이번 발언은 단순한 관계 관리 차원을 넘어 미국 내 만성적인 숙련인력 부족과 외국인 비자 문제를 드러낸 것으로 해석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7일(현지시각) 기자들과 만나 “우리는 한국과 매우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최근 무역 협상도 체결했다”며 동맹 차원의 협력 기조를 강조했다.

이어 “배터리, 컴퓨터 제조, 선박 건조 등 복잡한 산업에서 숙련인력이 부족하다”며 “외국 전문가를 일정 기간 받아들여 우리 국민을 훈련하는 방식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이번 발언은 구금 사태 진화 메시지를 넘어 첨단 제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한 구조적 고민이 투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트럼프 대통령의 언급은 최근 한국 기업들이 꾸준히 제기해온 전문직 비자(H-1B 등) 발급 부족 문제와 맞닿아 있다. 미국이 제조업 부활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첨단 배터리·반도체 분야 인력난이 심화되는 가운데 한국 기업의 현지 공장들도 인력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그들의 문제 제기를 이해하고 검토하겠다”고 밝힌 것도 같은 맥락이다.

앞서 ICE는 지난 5일 조지아주 현대차·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에서 단속을 벌여 다수의 한국인 노동자를 불법체류 혐의로 구금한 바 있다. 당시 트럼프 대통령은 “ICE는 자기 임무를 수행했을 뿐”이라고 선을 그었지만 이번에는 숙련인력 유입 필요성을 직접 언급하며 이전과 다른 태도를 보였다.

업계에서는 이번 사태가 단순한 불법 체류 문제가 아니라 한미 간 비자 제도 개선 논의로 이어질 수 있는 분기점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이번 사건은 글로벌 공급망 재편 속에서 미국이 숙련인력 부족을 어떻게 메울지라는 구조적 과제를 드러낸 것”이라고 평가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