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이민 단속 당국이 지난 4일(현지시각) 조지아주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의 합작 배터리 공장 건설현장에서 벌인 불법체류·고용 단속 현장 영상과 사진을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했다. 이민당국이 공개한 현대차·LG엔솔 이민단속 모습. [출처=연합뉴스]](https://cdn.ebn.co.kr/news/photo/202509/1677678_694471_3945.jpg)
미국 이민당국의 대규모 단속으로 한국인 근로자 300여 명이 구금된 사태와 관련해 정부가 현대차그룹과 LG에너지솔루션을 비롯한 주요 대미 투자 기업들과 긴급 간담회를 열고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8일 정부와 업계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는 한국경제인협회와 함께 서울 여의도 FKI타워에서 대미 투자기업 간담회를 개최했다. 박종원 산업부 통상차관보 주재로 열린 이번 회의에는 현대차그룹, LG에너지솔루션, SK온, 삼성SDI, 삼성전자, SK하이닉스, HD현대, LS 등 주요 대미 투자기업들이 참석했다.
산업부는 간담회에서 미국 투자 프로젝트 현장 운영과 관련해 비자 확보 문제를 포함한 인력 운용 현황을 점검했다. 기업들은 단기 파견 인력의 안정적 활동을 위해 비자 카테고리 신설이나 유연한 제도 운영이 필요하다며 정부가 미국과의 협의 과정에서 성과를 내줄 것을 요청했다.
이번 간담회는 단순한 사건 수습을 넘어 한국 기업의 대미 투자 안정성과 글로벌 공급망 경쟁력을 좌우할 구조적 과제를 정면으로 다룬 첫 자리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이 전날 “산업부와 기업이 함께 대미 프로젝트 출장자의 비자 체계를 개선하겠다”고 밝힌 데 이어 재계도 정부의 적극적 역할을 희망하는 분위기다.
한 기업 관계자는 “현지 인력난과 비자 부족은 투자 차질로 이어질 수 있다”며 “양자 협의에서 정부가 전향적 성과를 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다만 이번 사태는 그간 B1 비자나 ESTA(전자여행허가)로 출장 인력을 파견해온 편법적 관행과 장기간 공전해온 한미 비자 협의의 한계가 드러난 결과라는 지적도 함께 나온다. 외교부는 과거 최대 1만5000개 규모의 전문인력 취업비자(E-4) 신설을 추진했으나 미 의회 문턱을 넘지 못했다.
산업부 고위 관계자는 “비자 문제는 통상 이슈이자 이민정책 영역이어서 단기간에 해결이 어렵다”며 “기업 건의를 바탕으로 가능한 모든 채널을 통해 협의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 트럼프, 한국인 노동자 구금 사태 속 “숙련인력 유입 필요” 시사
- 美 한국인 구금사태 조기수습 국면…"석방 교섭 마무리"
- 美, 현대차-LG엔솔 공장서 불체자 단속…"한국인 30여명 등 450명 체포"
- 한국 정부, 미국 구금 한국인 귀국 준비 착수
- "한국 기술자의 합법적 미 입국 경로 늘려야"
- 현대차 미국 공장 이민 단속…트럼프, 경영계 '전환 요구' 직면
- 경제계, 15년 만에 '상생 채용박람회'…청년·중소기업 해법 모색
- "청년 고용 드라이브"…삼성·SK·한화, 신규 일자리 확보 확대
- 美 이민 단속 이후, 韓 기업들 잇따라 '대미 투자 철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