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승택 하나증권 리서치센터장이 9일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개최된 ‘KRX 출입기자단-증권사 정기 간담회’에서 하반기 글로벌 금융시장 전망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출처= 최수진 기자]
황승택 하나증권 리서치센터장이 9일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개최된 ‘KRX 출입기자단-증권사 정기 간담회’에서 하반기 글로벌 금융시장 전망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출처= 최수진 기자]

“하반기 글로벌 주식시장은 금리 인하와 장기물 국채 금리 수준에 주목하면서 움직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황승택 하나증권 리서치센터장은 9일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개최된 ‘KRX 출입기자단-증권사 정기 간담회’에서 하반기 글로벌 금융시장을 전망하면서 이같이 말했다.

황 센터장은 “주식시장은 유동성과 기대수익률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며 “글로벌 주식시장은 현재 유동성 장세로 긍정적”이라고 설명했다.

유동성에 영향을 미치는 부분은 금리다. 미국이 기준금리를 인하하면 그만큼 시장에 유동성이 증가하게 되고 주식시장으로 자금이 유입되는 구조다. 하나증권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9월과 12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각각 0.25%p씩 금리를 인하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황 센터장은 “일각에서 빅컷(기준금리 0.50%p 이상 인하) 가능성도 보고있지만 빅컷이되면 유동성이 더 많이 풀리고 물가 상승에 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며 “관세 협상 불확실성이 일단락됐다고 하지만 관세가 물가에 미치는 영향이 다소 늦게 나타나고 있기 때문에 연준은 내년 초에도 보수적으로 통화정책을 운영할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다.

금리가 하락하면 달러 환율도 떨어지게 뙨다. 실제로 달러인덱스는 떨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달러 약세에 따른 원화 강세가 하반기 예상되는 이유다.

황 센터장은 “원·달러 환율이 수급적인 요인 등으로 생각만큼 많이 떨어지지 않고 있는데 이에 따라 외국인 자금 유입도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며 “원·달러 환율은 연평균 1398원 내외로, 연말에는 1360원대 수준으로 환율이 급격하게 떨어질 가능성은 제한적”이라고 말했다.

금리 인하에 따른 유동성 증가는 주식시장에 호재로 작용하겠으나 문제는 국채금리다. 미국의 10년물 국채금리는 7월 이후 4.2~4.4%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황 센터장은 “미국 S&P500 지수 주가수익비율(PER)이 22배 수준인데, 간단하게 기대수익률(1/PER)을 계산해보면 4.5%”라며 “국채 금리와 S&P500 기대수익률에 거의 차이가 없는데, 기대수익률보다 10년물 금리가 낮아야 주식시장에 투자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미국이 기준금리를 인하하면 10년물 국채금리도 하락하긴 할 것”이라면서도 “기대인플레이션이 올라가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10년물 국채금리 하락폭이 생각만큼 많이 떨어지지 않을 수 있고 기대수익률갭이 커지지 않아 금리 인하에도 주식시장 상단을 제한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국내 채권시장도 큰 차이가 없을 전망이다. 그는 “내년 예산이 시장의 예상과 비슷하게 나오면서 금리가 튀었던 부분이 정상화되기는 했지만, 대내 재료가 소명되면서 당분간 한-미 장기물 금리는 선진국 금리와 연동되는 장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 전망과 장기물 금리를 고려했을 때 황 센터장은 S&P500 지수의 하반기 상단 기대수익률은 6%, 하단은 -5%정도로 6180~6700p의 박스권 형성을 전망했다. 코스피 지수도 ±7%인 3020~3300p 수준을 예상했다.

황 센터장은 “유동성 확장 국면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코스피 강세장 흐름에는 큰 변화 없을 것”이라면서도 “기업의 배당성향 개선과 자사주 매입·소각 의무화 등과 같은 세법 개정에 대한 기대감이 약화된 것도 맞아서 향후 이런부분이 확정이 되고 기대를 웃도는 결과라면 7% 그 이상으로도 코스피가 오를 수 있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