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16일 서울 중구 여신금융협회에서 열린 여신전문업계 간담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출처=EBN]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16일 서울 중구 여신금융협회에서 열린 여신전문업계 간담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출처=EBN]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롯데카드 해킹사고를 정조준하며 카드업권 전반에 강력한 정보보호 의무 이행을 주문했다. 소비자 신뢰를 상실할 경우 업권 존립 자체가 위협받을 수 있다는 경고다.

16일 서울 중구 여신금융협회에서 열린 간담회에는 정완규 여신금융협회장을 비롯해 7개 카드사와 7개 비카드사 CEO가 참석했다.

다만 이날 조좌진 롯데카드 대표는는 참석하지 않았다. 해킹사건에 대한 부담을 느끼고 불참한 것으로 보인다.  

이 원장은 간담회 서두에서 롯데카드 사이버 침해 사고를 언급하며 “뼈아픈 자성의 계기로 삼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롯데카드는 지난달 26일 서버 점검 중 악성코드 감염을 발견해 전체 서버 정밀 조사를 실시했다. 31일에는 온라인 결제 서버에서 자료 유출 시도가 확인돼 1일 금융당국에 신고했다. 현재 금감원은 현장 검사에 착수한 상태다.

이 원장은 “신용카드는 전 국민이 쓰는 보편적 결제수단이며 소비자는 정보보호를 신뢰 기반으로 금융사를 선택한다”며 “튼튼한 은행에만 예금을 맡기듯, 보안이 취약한 금융사는 이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단기 실적만 좇아 장기적 보안 투자를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며 정보보호 지출은 생존을 위한 필수 투자라고 못 박았다.

특히 CEO가 직접 ‘제로 톨러런스(Zero-Tolerance:무관용)’ 원칙을 가지고 보안을 챙겨야 한다고 경고했다.

카드사는 전 국민의 신용·결제 정보를 다루는 만큼 사고 파급력이 치명적이기 때문이다. 금감원도 감독·검사 과정에서 위반 사례에 대해 무거운 책임을 묻겠다고 밝혔다.

동시에 롯데카드의 해킹 사고 후 미흡한 대처도 지적됐다. 이 원장은 “재발급을 신청하려는 고객들이 앱·홈페이지 절차와 콜센터 연결 지연 등의 불편이 다수 제기되고 있다”며 “소비자가 야간·주말에도 즉시 방어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접근채널을 전면 개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원장은 정보보호 외에도 여전사의 리스크 관리 강화를 재차 주문했다. 카드사와 캐피탈사의 순이익이 정체하는 가운데 연체율도 상승세다.

카드사의 경우 연체율이 지난해 말 1.65%에서 올 상반기 기준 1.76%로 0.11%p 높아졌다. 비카드사 연체율도 같은 기간 2.10%에서 2.43%로 0.33%p 상승했다.

특히 부실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장 관리, 충분한 충당금 적립 등 선제적 대응을 요구했다.

다만 그는 “리스크 관리 과정에서 중·저신용자의 자금조달이 과도하게 위축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취약계층 지원도 언급됐다. 그는 장기 연체차주 채권의 소멸시효 연장 자제, 고령층 카드포인트 활용 확대, 자체 채무조정 강화 등을 제시하며 금융회사의 사회적 책임을 강조했다.

또한 혁신 성장동력 확보를 위해 신기술기업에 대한 모험자본 공급 확대와 카드사가 보유한 빅데이터를 활용한 신사업 발굴을 촉구했다.

당국 역시 신기술금융업 제도 개선, 혁신금융서비스 확대, 부수업무 허용 등을 통해 제도적 지원에 나서겠다고 했다.

이날 여전사 CEO들은 결제시장 경쟁 심화, 경기 둔화로 인한 수익성 악화를 토로하며 취약차주 지원 확대와 사업영역 확장을 위한 제도 개선을 요청했다. 스테이블코인 사업 진출, 지급결제 전용 계좌 허용, 캐피탈업계의 보험대리점(GA) 진출 허용 등이 대표적이다.

이 원장은 “여전사의 안전성에 대한 신뢰가 업권 존립의 핵심”이라며 업권 건의사항을 감독·검사 업무에 적극 반영하고 불필요한 규제는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16일 이찬진 금융감독원장과 여신전문금융업권 CEO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출처=EBN]
16일 이찬진 금융감독원장과 여신전문금융업권 CEO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출처=EBN]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