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와무관, 20대 건설사 CEO가 '2025 근절 위한 건설사 간담회'에 참석했다. [출처=EBN]
기사와무관, 20대 건설사 CEO가 '2025 근절 위한 건설사 간담회'에 참석했다. [출처=EBN]

건설업계가 새 정부 출범 후 첫 국정감사를 앞두고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정부가 '산재와의 전쟁'을 선포하고 고강도 대책을 잇달아 내놓으면서, 건설사 최고경영자(CEO) 국감 증인 소환 가능성도 한층 커지고 있다.

25일 건설업계와 정치권에 따르면 국회 국정감사는 오는 10월 13일부터 시작된다. 올해 중대재해가 잇따르자 국토교통위원회와 환경노동위원회를 중심으로 증인 채택 논의가 급물살을 타고 있다. 국토위는 이날 전체회의에서 관련 안건을 상정할 예정이며, 환노위는 각 의원실에서 제출한 증인·참고인 명단을 토대로 채택 여부를 공식 논의한다.

국토위 소속 정준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0년부터 올해 7월까지 10대 건설사 현장에서 발생한 사망자는 113명이다. 올해에만 16명이 목숨을 잃었다.

◆ 대형사, 잇따른 현장 사고

현대엔지니어링은 올해 고속도로·교량 현장에서 발생한 추락·붕괴 사고로 6명의 노동자가 숨졌다. 포스코이앤씨 현장에서는 4명이 사망했다. 이에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7월 국무회의에서 "포스코이앤씨의 건설면허 취소와 공공입찰 금지 등 가능한 모든 법적 조치를 검토하라"고 직접 지시하기도 했다.

또 DL건설 의정부 아파트 현장 사망사고를 시작으로 GS건설(서울 성동구), 대우건설(울산 북항터미널·시흥), 롯데건설(김해) 등 주요 건설사 현장에서도 인명 피해가 잇따랐다.

특히 현대엔지니어링의 경우, 미국 조지아주 현대자동차와 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공장에서 불법 노동으로 추방된 한국인 하청업체 직원이 포함돼 있어 외교통일위원회로 국감 이슈가 확산됐다. 안전사고를 넘어 외교 문제까지 얽히면서 CEO 출석이 불가피하다는 분석이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