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연합]
[출처=연합]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전산실 화재로 정부 핵심 정보시스템이 전소되면서 국민 생활과 직결된 민원 서비스의 정상화가 장기화될 전망이다. 일선 주민센터와 구청 창구 업무도 당분간 차질이 불가피하다는 관측이다.

28일 정부에 따르면 화재 피해를 입은 국정자원 대전센터 5층 7-1 전산실의 96개 시스템을 대구센터의 민관협력형 클라우드로 이전하는 작업을 추진하고 있다.

정부 측은 “새로운 환경에서 시스템을 가동하는 데 약 2주가 소요될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이번 화재로 피해를 입은 시스템에는 국민신문고, 국가법령정보센터, 공무원의 행정업무망인 온나라시스템 등 주요 행정 서비스가 포함돼 있다.

특히 온나라시스템은 공문서 결재와 보고 등 일상 행정업무에 필수적인 시스템이지만 현재 일부 게시판 기능만 작동 중이다.

행정안전부와 다수 중앙부처의 홈페이지 관리 시스템 역시 전소된 7-1 전산실에 있었던 터라 복구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다만 모바일신분증은 피해를 면했다. 광주센터의 재해복구(DR) 체계로 전환해 화재 발생일인 26일 기준 신규 발급·재발급을 제외한 대부분의 기능이 정상화됐다. 대통령실 홈페이지는 국정자원 전산망과 별도로 운영돼 영향을 받지 않았다. 

이번 화재의 직격탄을 맞은 것은 아니지만, 정부24와 새올행정시스템 접속 인증에 필요한 GPKI(행정전자서명인증서) 등은 대전 본원의 다른 층에 설치돼 있어 기능을 보호하기 위해 선제적으로 가동이 중단된 상태다.

국정자원은 통신·보안 장비 복구를 마치는 대로 7-1 전산실을 제외한 551개 시스템의 순차 재가동과 점검을 진행할 계획이다.

내일(29일)부터 민원 현장이 다시 문을 열지만, 다수 시스템이 정상화되지 못해 주민등록·각종 증명서 발급 등 기본 민원 서비스 제공에 상당한 차질이 예상되며 당분간 ‘민원 공백’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