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정부 위기경보가 ‘심각’ 단계로 격상되자 금융당국이 금융권 대응체계를 한층 강화했다.
금융위원회는 28일 금융감독원과 업권 협회 등과 합동 위기상황대응본부를 중앙사고수습본부로 전환하고 긴급대책회의를 열었다.
권대영 금융위 부위원장 주재로 열린 2차 긴급회의에서 금융당국과 금융권은 소비자 불편을 최소화하는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화재로 주민등록증 진위 확인이 어려워지면서 신규 계좌 개설 시 운전면허증 등 대체 신분확인 수단을 활용해야 하고, 일부 금융거래에서는 추가 서류 제출이 요구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또 우체국을 기반으로 한 자동이체 서비스와 일부 금융거래가 차질을 빚을 수 있으며, 배출권 거래시장과 인터넷 지로, 온라인 대금결제 서비스는 복구 상황에 맞춰 정상 운영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됐다.
금융사들은 고객 안내를 강화하고 있다. 인터넷 팝업창 등을 통해 서비스 장애와 대체 인증수단을 공지하고, 대출 심사에서는 ‘선 신청접수, 후 요건확인’ 방식으로 처리하는 등 불편 완화에 나섰다. 각 금융사는 대응센터를 구축해 사태가 안정될 때까지 금융당국과 긴밀히 소통할 방침이다.
권 부위원장은 “금융회사들이 소비자 불편을 최소화한다는 원칙 아래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대응해 달라”며 “적극적 조치에 대해 사후 불이익이 없도록 비조치의견서 발급 등 유연한 지원 방안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혼란을 틈탄 해킹, 보이스피싱 등 2차 피해를 막기 위해 금융보안과 정보보호 강화에도 만전을 기해 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