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단지 모습. [출처=EBN]](https://cdn.ebn.co.kr/news/photo/202510/1681031_698404_5744.jpg)
서울 노원구 하계5단지와 상계마들 공공임대아파트 재건축이 내년 초 첫 삽을 뜬다. 정부는 이르면 2029년부터 신규 주택 입주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한다.
국토교통부는 1일 “지난 9·7 부동산 공급대책에 포함된 노후 공공임대주택 재건축을 본격 추진한다”며 “수도권에서만 2030년까지 2만3000가구를 착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재건축 대상은 준공 30년 이상 영구임대 등 노후 공공임대주택으로, 용도지역 상향과 용적률 확대(최대 500%)를 통해 고밀도 개발을 추진한다. 현재 수도권에만 8만6000가구가 30년 이상 된 상태이며, 10년 뒤에는 16만9000가구로 2배 가까이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우선 하계5단지(1336가구)와 상계마들(363가구)이 내년 초 착공에 들어가며, 이어 2028년 중계1단지(1370가구), 2029년 가양7단지(3235가구), 2030년 수서(3899가구)·번동2단지(3048가구) 등이 순차적으로 사업을 시작한다. 중계1단지에서는 2028년부터 신규 공공분양주택 공급도 가능할 전망이다.
국토부는 원주민 이주대책으로 △주변 공공임대 공가 활용 △신규 매입임대 일부 제공 △한국토지주택공사(LH) 보유 공가 동원 등을 검토 중이다. 올해 연말까지 이주계획을 포함한 세부 추진안을 확정한다는 방침이다.
재건축 단지에는 ‘소셜 믹스(분양·임대 혼합 배치)’ 개념을 적용해 임대와 분양을 함께 배치하고, 통합공공임대의 평균 주거면적을 기존 58㎡에서 67㎡로 확대키로 했다. 입주 대상도 현행 소득 1~2분위에서 1~6분위로 넓힌다.
이상경 국토부 1차관은 수서1단지를 방문한 자리에서 “노후 공공임대 재건축은 앞으로 지속적으로 추진할 국가 과제”라며 “공공주택사업자는 사명감을 갖고 이주대책을 차질 없이 마련해 조기 착공에 나서야 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