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미국 워싱턴DC에서 13~15일 열리는 'AUSA 2025' 전시회에서 차륜형 K9A2 자주포, 유무인복합 K9A3 등 K9의 진화적 개발 계획을 전시한다. [출처=한화에어로스페이스]](https://cdn.ebn.co.kr/news/photo/202510/1681816_699295_4424.jpeg)
한화가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리는 AUSA 2025에 참가해 차륜형 K9A2와 155mm 추진장약(MCS)의 미국 현지화 방안을 동시에 선보이며 한·미 안보 협력과 K-방산의 글로벌 확장을 본격화한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한화시스템은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리는 'AUSA 2025' 전시회에 참가한다고 13일 밝혔다.
전시는 오는 15일까지 열리며 올해 행사에는 92개국에서 약 4만4000명이 방문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화는 279㎡ 규모의 통합 전시 공간에서 자사 솔루션을 집중 전개한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전시장에서 자동장전 포탑을 8×8 차륜형 플랫폼에 탑재한 K9A2 솔루션을 공개한다. K9A2는 2022년 체계개발 착수 이후 성능검증 단계에 있는 최신 궤도형 자주포의 핵심 기능을 차륜형 플랫폼으로 이식한 모델이다.
자동화된 탄약 적재·장전 시스템을 바탕으로 분당 최대 발사속도는 기존 6발에서 9발 이상으로 늘어나며, 사거리·정밀도·기동성 향상 요구를 충족하도록 설계됐다. 미 육군은 재장전·지속발사 능력과 기동성을 중시하는 현대화 사업을 추진 중이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모듈형 추진장약(MCS)의 미국 내 생산 협력 방안도 집중 제안한다. 한화 MCS는 스마트 팩토리 기반의 자동화 생산으로 품질 일관성과 생산 효율성을 확보하고 있으며, NATO 규격 155mm 포탄과 높은 호환성을 갖춘다.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155mm 탄약 공급이 급감한 상황에서 한화의 현지화 계획은 미 육군 및 동맹국의 안정적 탄약 공급망 확보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화시스템은 단거리 소형 AESA 레이다와 안티드론 능력을 결합한 다계층복합방호체계를 선보인다. 해당 체계는 무인기·드론 위협에 대응해 탐지–식별–무력화 과정을 통합 운용하며, 저고도 공중 위협의 탐지·추적을 통해 SHORAD(단거리 방공) 체계의 작전 능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핵심 센서를 포함한다.
한화는 이번 전시를 통해 기술 플랫폼 수출뿐 아니라 미국 내 생산·공급망 구축을 통해 한미 간 안보·경제 협력을 강화하는 것을 전략 목표로 삼고 있다. 155mm 탄약의 현지화는 단기적으론 미군과 동맹국의 수급 불안을 완화하고, 중장기적으론 K-방산의 시장 진입 장벽을 낮추는 역할을 할 전망이다.
손재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대표는 "정부와 함께 개발 중인 K9의 차세대 모델 A2를 기반으로 미 육군에 최적의 자주포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게 됐다"며 "한화는 한미 동맹과 경제협력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손 대표는 이어 "전시를 통해 기술·생산 협력의 구체적 파트너십을 모색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