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은 시중은행 영업점. [출처=연합]](https://cdn.ebn.co.kr/news/photo/202510/1681977_699475_5757.jpeg)
정부의 강도 높은 대출 규제로 은행권이 올해 연말 대출 빗장을 더 일찍 걸어 잠글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일부 시중은행은 이미 연간 가계대출 총량을 초과했으며, 주요 은행들도 목표치에 근접한 상황이다. 연말 대출 수요가 집중되는 시기인 만큼 은행들이 추가 억제책을 가동할 가능성이 커졌다.
14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이 이인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서 신한은행과 농협은행의 올해 가계대출 증가액이 금융당국에 보고한 총량 목표치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신한은행의 9월 말 기준 가계대출 잔액은 146조4588억원으로, 지난해 말보다 1조9668억원 늘었다. 목표치(1조6375억원)보다 3293억원 초과했다. 농협은행의 가계대출 증가액(2조3202억원)도 목표치(2조1200억원)를 웃돌았다.
다른 시중은행도 상한선에 근접했다. 하나은행의 가계대출 증가액(8651억원)은 목표치(9102억원)의 95%, 국민은행은 목표치(2조원) 대비 85% 수준에 달했다. 이에 따라 지난해와 같은 연말 대출 셧다운이 올해는 더 빨리 나타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지난해 은행권은 연간 가계대출 증가액이 목표치를 넘어서자 하반기 들어 비대면 신용대출과 전세대출, 주택담보대출 접수를 전면 중단했다. 우대금리도 축소되면서 8월 9조3000억원이던 가계대출 증가액이 11월에는 1조9000억원으로 급감했다.
사실상 연말 대출이 멈춰선 셈이다. 연간 목표치를 맞추지 못한 은행들은 당국의 패널티를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올해는 양상이 다를 수 있다는 전망도 있다. 정부의 ‘6·27 가계부채 관리방안’ 시행으로 은행들이 하반기 가계대출 목표치를 절반 수준으로 낮춘 뒤 선제 대응에 나섰기 때문이다.
SC제일은행은 7월부터 비대면 주택담보대출 신규 취급을 중단했고, 신한은행도 대출모집인을 통한 주담대·전세대출 접수를 잠정 중단했다. 농협은행은 모집인 대출을 제한하고 MCI·MCG 보증 가입 기준을 강화했다.
은행권 관계자는 “타이트한 총량관리를 이어온 만큼 작년처럼 급격한 대출 절벽이 나타날 가능성은 낮다”고 말했다.
실제 6·27 대책과 9·7 후속대책 이후 각 은행들이 대출수요 억제책을 쓰면서 가계대출 증가 폭은 눈에 띄게 둔화됐다.
9월 말 기준 5대 은행(국민·신한·하나·우리·농협)의 가계대출 증가액은 1조1964억원으로, 8월(3조9251억원) 대비 크게 줄었다. 주택담보대출 증가액은 11개월 만의 최소치를 기록했다.
신용대출도 감소세로 전환했다. 5대 은행의 9월 말 기준 신용대출 잔액은 103조8079억원으로, 한 달 새 2711억원 줄었다.
문제는 정부가 부동산 안정을 위해 추가 대출 규제 카드를 검토 중이라는 점이다. 금융당국은 이주 내로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세 번째 대출 규제안을 발표할 전망이다.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축소나 주담대 한도 축소 등이 유력하게 거론된다.
추가 대책이 현실화될 경우 은행권의 대출 문턱은 더욱 높아질 가능성이 크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연말 전세자금대출, 주담대 수요가 집중되는 시기인 만큼 대출 문턱이 더 높아질 경우 실수요자의 자금 확보가 어려워질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