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보디아발 범죄 사건은 정부·기업 간 ‘심리 방역 네트워크’가 부재한 상태에서 얼마나 시장이 쉽게 흔들릴 수 있는지를 보여줬다. 안전이 무너지는 순간 시장 전체가 흔들리는 이유는 관광산업이 감정과 신뢰를 기반으로 움직이는 가장 ‘심리적 산업’이기 때문이다. [출처=오픈AI]](https://cdn.ebn.co.kr/news/photo/202510/1682508_700066_2223.png)
캄보디아에서 발생한 한국인 납치·감금 사건이 단순한 치안 이슈를 넘어 ‘관광외교 리스크’로 확산하고 있다. 정부의 여행금지 조치가 잇따르면서 한때 ‘한국인 선호지’로 부상하던 동남아 관광시장의 구조적 불안정성이 다시 드러났다는 평가다.
여행업계는 당장의 예약 취소보다는 ‘신뢰의 균열’이 장기적인 시장 회복을 늦출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17일 여행업계에 따르면, 외교부는 지난 16일 캄폿주 보코산·바벳시·포이펫시를 여행금지 지역(4단계)으로 지정하고 시아누크빌주를 출국권고(3단계)로 상향했다. 이로써 캄보디아 전역이 사실상 ‘여행자제 권역’으로 묶였다.
여행업계는 이를 단순한 지역 경보 이상의 신호로 보고 있다. 한국인의 동남아 여행 동선은 태국·베트남을 거쳐 라오스, 캄보디아로 이어지는 연계형 루트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한 여행업계 관계자는 “하나의 경보가 인근 국가까지 불안 심리를 전염시키는 효과가 있다”며 “특히 자유여행객 비중이 높아진 상황에서 위험 인식이 확산되면 특정 국가뿐만 아니라 루트 전체가 제외되는 경향이 있다”고 말했다.
캄보디아는 최근 2~3년간 ‘신흥 한류 관광지’로 급부상했다. 시엠레아프 앙코르와트 외에 K-콘텐츠·한식 체험 프로그램이 늘고, K-브랜드 매장이 확산되며 한국인의 소비 루트가 새롭게 형성되고 있던 것이다.
하지만 이번 사태로 현지 관광 인프라 확장과 상품 개발에도 제동이 걸릴 가능성이 제기된다.
한 여행사 관계자는 “신흥 시장의 가장 큰 리스크는 치안에 따른 이미지”라며 “한 번 ‘위험 국가’ 인식이 박히면 회복까지 최소 2~3년이 소요된다”고 밝혔다.
하나투어는 현재 직접적인 영향은 제한적이라는 입장이다.
하나투어 관계자는 “캄보디아의 주 관광지인 시엠립 노선이 코로나19 이후 정기편이 재개되지 않아 현재 여행 수요가 거의 없는 상황”이라며 “이번 사태로 인한 취소나 환불 흐름은 없으며, 동계 부정기편 모객도 초기 단계”라고 말했다.
이어 “다만 장기화될 경우 동남아 전반의 심리 위축으로 번질 가능성이 있어 외교부 지침과 현지 동향을 면밀히 모니터링 중”이라고 덧붙였다.
모두투어는 이번 사건의 직접적 여파가 제한적이지만 여행심리 변화 가능성에는 주목하고 있다.
모두투어 관계자는 “캄보디아는 전체 해외여행 판매 비중의 1% 미만으로 시장 규모가 작지만 단기적으로는 여행경보 상향에 따른 일부 예약 취소가 발생했다”며 “장기적으로는 특정 조직 범죄에 국한된 사건인 만큼 시장은 점진적으로 회복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더불어 모두투어는 현지 협력사 및 가이드 네트워크를 통해 안전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하고, 특별여행주의보 지역 예약 고객에는 수수료 없이 취소·변경을 지원하는 체계를 가동 중이다.
한 관광정책 연구원은 “한국인이 많이 찾는 지역일수록 관광안전을 외교 아젠다로 제도화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정부는 현재 캄보디아 당국과의 공조 체계를 강화하고 있다.
위성락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은 15일 “‘캄보디아-코리아 스캠 공동 테스크포스(TF)’를 가동해 범죄 연루자 단속과 피해자 구조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또 캄보디아 치안 역량 강화를 위한 공적개발원조(ODA) 지원, 현지 경찰 영사 확대 파견 등 다층적 협력 방안을 검토 중이다.
여행업계는 지금 필요한 것은 정책에 더한 심리 회복이라고 입을 모은다. 코로나19 이후 3년 만에 되살아난 해외여행 수요가 다시 위축되지 않으려면 정부와 민간의 ‘심리적 방역’이 병행돼야 한다는 것이다.
하나투어 관계자는 “현재 동남아 전반의 예약률은 전년과 유사한 수준이며, 캄보디아 이슈가 다른 국가로 확산되는 흐름은 아직 없다”면서도 “불안심리가 장기화되지 않도록 현지 대응 체계를 강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모두투어 관계자 역시 “무엇보다 정부와 업계 간의 공조가 중요하다”며 “현지 대응력뿐만 아니라 정확한 정보 공유 시스템이 신뢰 회복의 핵심”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