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임에 도전하는 금융지주 회장들에게 뜻밖의 변수가 등장했다. 최근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국정감사 자리에서 금융지주 회장 선임 절차를 공개 비판하면서다. 사진은 왼쪽부터 진옥동 신한금융 회장, 임종룡 우리금융 회장, 빈대인 BNK금융 회장. [출처=각사]](https://cdn.ebn.co.kr/news/photo/202510/1683468_701158_4318.jpg)
연임에 도전하는 금융지주 회장들에게 돌발 변수가 등장했다. 최근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국정감사 자리에서 금융지주 회장 선임 절차를 공개 비판하면서다.
금융권 안팎에서는 과거처럼 당국이 금융사 인사에 개입하는 일이 재연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된다.
24일 금융권에 따르면 이찬진 금감원장은 최근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금융지주 회장 선임 과정의 절차적 정당성 문제를 지적하며 금융사 지배구조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드러냈다.
이 원장은 “BNK금융 차기 회장 선임 과정에 특이한 면이 많이 보여 예의주시하고 있다”며 “문제가 있는 소지가 있다면 수시 검사를 통해 바로잡겠다”고 밝혔다.
이는 박범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BNK금융 회장 후보 등록 기간이 추석 연휴를 제외하면 4일에 불과했다”며 절차적 정당성을 문제 삼은 데 대한 답변이다.
이 원장은 이어 “금융지주 회장이 되면 이사회를 자기 사람으로 채워 참호를 구축하는 분들이 있다”며 “오너 기업처럼 변질될 경우 금융의 공공성이 훼손될 우려가 있다”고 경고했다.
‘참호 구축’이라는 표현은 지난 정부 당시 이복현 전 금감원장이 금융지주 회장들의 연임 구도를 비판하며 사용했던 표현과 겹친다.
실제 그 시기 하나·농협·신한·우리·KB 등 5대 금융지주 회장이 모두 교체된 바 있다. 당시에도 ‘감독당국의 인사 개입 논란’이 불거졌지만, 결과적으로 당국의 의중을 거스르지 못했다.
이번 발언은 이 원장이 사실상 지배구조 제도 개선과 경영승계 관리에 직접 개입할 수 있음을 시사한 것으로 풀이된다.
직접 언급된 BNK금융의 부담은 커졌다. BNK금융은 추석 연휴 직전 임원후보추천위원회를 구성하고 후보자 접수를 받아 16일 1차 후보군(롱리스트)을 확정했다. 다만 회추위 개시 후 열흘이 지난 13일에서야 경영승계 절차가 시작됐음을 공지해 ‘밀실 인선’ 논란이 제기됐다.
BNK금융 측은 절차상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지만 금감원이 개입 가능성을 시사하면서 향후 일정에 변수가 발생할 수 있다.
우리금융과 신한금융도 긴장감을 늦출 수 없다. 우리금융은 사외이사 7명 중 6명(김춘수, 김영훈, 이강행, 이영섭, 이은주, 박선영)이 임종룡 회장 취임 이후 발탁됐다.
신한금융은 진옥동 회장 취임 이후 사외이사 4명(송성주, 최영권, 양인집, 전묘상)을 새로 선임했으며, 이 중 최영권 사외이사가 회장후보추천위원회(회추위)에 포함돼 있다.
결국 이번 사안의 핵심은 당국이 금융사 인사 절차에 얼마나 개입할 의지를 보이느냐다.
이 원장이 공개석상에서 “필요시 제도 개선을 논의하겠다”고 언급한 만큼, 단순한 경고 차원을 넘어 제도적 개편 논의로 이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다만 각 금융지주들은 2023년 말 금감원이 마련한 ‘지배구조 모범관행’에 맞춰 회장 승계 절차를 진행하고 있어 이번 발언이 큰 반향을 일으키지 못할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모범관행은 △CEO 임기 만료 최소 3개월 전 승계 절차 개시 △내·외부 후보군 상시 관리 △사외이사 역량평가 강화 등을 핵심으로 한다.
신한금융은 이미 지난달 회추위를 조기 가동해 투명성과 공정성 확보를 강조하고 있다. 11월 말 후보군을 압축한 뒤 12월 초 최종 후보를 확정해 내년 3월 주총에서 회장을 승인할 예정이다. 우리금융 역시 내달 회추위를 가동할 전망이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각 지주가 회사의 비전과 성장에 가장 잘 맞는 회장을 선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당국 모범관행에 따라 공정성, 투명성을 최우선으로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다만 감독당국의 해석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어 회장 연임을 앞둔 지주 입장에선 민감한 시그널이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