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SK그룹) 회장이 29일 오전 경주 예술의 전당 화랑홀에서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최대 경제포럼인 ‘2025 APEC CEO 서밋’ 개회사를 하고 있다. [출처=대한상의]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SK그룹) 회장이 29일 오전 경주 예술의 전당 화랑홀에서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최대 경제포럼인 ‘2025 APEC CEO 서밋’ 개회사를 하고 있다. [출처=대한상의]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SK그룹) 회장이 29일 "세계 경제는 지금 거대한 전환의 파도 앞에 서 있다"며 "공급망 재편, 인공지능(AI) 경쟁, 디지털 전환, 기후 위기 등 복합적 도전에 대한 해법을 찾기 위해 APEC CEO 서밋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 회장은 이날 오전 경북 경주 예술의전당에서 열린 '2025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최고경영자(CEO) 서밋'에서 개회사를 통해 이같이 강조했다.

올해로 30주년을 맞은 이번 APEC CEO 서밋은 세션 수, 참석 연사, 정상급 인사 등 모든 면에서 역대 최대 규모로 열렸다. 아시아·태평양 21개국을 비롯해 약 1700명의 글로벌 기업인과 정책 리더가 자리했다.

최 회장은 "지난 30년간 APEC은 연대와 협력으로 수많은 위기를 극복하며, 전 세계 국내총생산(GDP)의 61%를 차지하는 최대 경제협력체로 성장했다"며 "올해 서밋은 새로운 시대의 도전에 대응하는 공동 해법을 모색하는 자리"라고 설명했다.

올해 APEC CEO 서밋의 주제는 '3B'다. 기업(Business)을 중심으로 정부와 기업, 그리고 국가 간 연결(Bridge)을 강화해 더 나은 미래(Beyond)를 만들어가자는 의미를 담았다.

최 회장은 "3B는 전환기의 시대 속에서 APEC 회원국과 기업들이 반드시 추구해야 할 핵심 가치"라며 "올해 본회의 일정 또한 3B의 주제에 따라 구성됐다"고 밝혔다.

이번 서밋은 행동과 실행의 장으로 기획됐다. 각국 정상과 글로벌 CEO들이 직접 만나 투자와 협력 방안을 논의할 수 있는 고위급 네트워킹 자리가 다수 마련됐다.

최 회장은 "APEC CEO 서밋은 단순한 담론의 장이 아니라 실행과 행동의 플랫폼"이라며 "이번 경주에서의 만남이 아시아·태평양의 지속 가능한 미래로 이어지는 출발점이 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이번 서밋에는 정부와 기업 간 협력을 중시하는 흐름에 맞춰 해외 정상들도 대거 참석했다.

첫 연설은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맡았으며, 이어 프라보워 수비안토 인도네시아 대통령, 르엉 끄엉 베트남 국가주석, 아누틴 찬위라꾼 태국 총리, 존 리 홍콩 행정장관, 가브리엘 보리치 칠레 대통령, 크리스토퍼 럭슨 뉴질랜드 총리,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 앤서니 앨버니지 호주 총리,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주니어 필리핀 대통령,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 등이 차례로 연단에 오른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