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싯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 위원장. [출처=연합]
해싯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 위원장. [출처=연합]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자국에서 생산되지 않는 주요 식품에 대한 관세를 인하할 방침이다. 커피와 바나나 등 수입 농산물 가격 상승이 소비자 물가에 부담으로 작용하자, 행정부가 대응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12일(현지시간) 워싱턴DC 이코노믹클럽 대담에서 케빈 해싯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은 “최근 며칠간 식품 관세 조정에 대한 논의가 있었다”며 “식품 관련 관세에 더 많은 변화가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 역시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미국에서 재배하지 않는 품목들에 대해 중대한 발표가 며칠 내 있을 것”이라며 “커피, 바나나, 다른 열대 과일 등이 이에 포함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인터뷰에서 커피와 소고기의 높은 가격을 지적하며 커피 관세를 낮추겠다고 시사한 바 있다. 미국 언론은 이 같은 조치가 최근 물가 상승 압력 완화를 위한 행정부의 대응책으로 보고 있다.

한편 해싯 위원장은 외국 기업이 미국 내 자회사를 통해 제품을 낮은 가격으로 수출한 뒤 자회사가 미국 내에서 높은 가격에 판매하는 방식으로 관세를 회피하려는 시도를 막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트럼프 행정부가 연방대법원에서 진행 중인 관세 관련 소송에서 승리할 것으로 확신한다”며 “설령 패소하더라도 다른 형태의 관세 부과 권한을 활용해 정책을 이어갈 수 있다”고 말했다.

해싯 위원장은 또 백악관 예산관리국(OMB)이 올해 재정적자가 전년 대비 약 6000억달러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며, 관세 수입 확대와 경기 호조에 따른 세수 증가, 지출 절감이 주요 요인이라고 밝혔다.

통화정책과 관련해 그는 연방준비제도(Fed)가 12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의 의견처럼 금리를 더 낮출 필요가 있다”고 동의하며, 차기 연준 의장직 제안이 있을 경우 수락 의사를 내비쳤다.

인공지능(AI) 시장에 대한 평가와 관련해 해싯 위원장은 “AI가 기업의 생산성과 수익성을 놀라운 속도로 끌어올리고 있다”며 “이로 인해 기업 가치가 높게 평가되는 것은 당연한 현상”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번 AI 혁명은 1990년대의 컴퓨터 버블과는 달리 실제 생산성 향상이 뒷받침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