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롯데케미칼]
[출처=롯데케미칼]

한국의 10대 수출 주력업종이 2030년에는 모든 분야에서 중국 기업에 경쟁력이 뒤처질 것으로 전망된다.

기업들은 이미 가격과 생산성에서 중국이 우위에 있으며, 5년 뒤에는 핵심 기술과 전문 인력 분야까지 격차가 벌어질 것으로 내다 봤다.

한국경제인협회는 17일 매출 1000대 기업을 대상으로 200개사 응답을 받은 '한·미·일·중 경쟁력 현황 및 전망 조사'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조사 대상 10대 수출 주력업종은 △반도체 △디스플레이 △전기전자(컴퓨터·무선통신기기·가전) △자동차·부품 △일반기계 △선박 △이차전지 △석유화학·석유제품 △바이오헬스 등이다.

[출처=한국경제인협회]
[출처=한국경제인협회]

기업들은 올해 수출 최대 경쟁국으로 △중국(62.5%) △미국(22.5%) △일본(9.5%)을 꼽았다. 2030년 전망에서는 △중국(68.5%) △미국(22.0%) △일본(5.0%)로, 중국을 최대 경쟁국으로 보는 응답이 6%포인트 상승했다. 이는 앞으로 중국과의 수출 경쟁이 한층 치열해질 것을 의미한다.

기업경쟁력을 100으로 기준했을 때 2025년 현재 한국 대비 경쟁력 수준은 △미국 107.2 △중국 102.2 △일본 93.5였다. 2030년에는 △미국 112.9 △중국 112.3 △일본 95.0으로 전망됐다. 

한경협은 "한국 기업 경쟁력이 이미 미국과 중국에 뒤처졌고, 5년 후 격차는 더욱 벌어질 것"이라며 "중국은 2030년 미국과 대등한 수준으로 성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업종별로 보면 올해 한국을 100으로 기준할 때 중국이 앞선 분야는 △철강(112.7) △일반기계(108.5) △이차전지(108.4) △디스플레이(106.4) △자동차/부품(102.4) 등 5개 업종이다. 반면 △반도체(99.3) △전기·전자(99.0) △선박(96.7) △석유화학·석유제품(96.5) △바이오헬스(89.2) 등 5개 업종은 한국이 우위였다. 그러나 2030년에는 10대 주력업종 모두에서 중국 경쟁력이 한국을 상회할 것으로 점쳐진다.

[출처=한국경제인협회]
[출처=한국경제인협회]

미국과 비교하면 2025년 한국이 앞선 업종은 △철강(98.8) △선박(90.8) △이차전지(89.5) 3개에 불과하며, 나머지 △반도체(118.2) △바이오헬스(115.4) 등 7개 업종에서 미국이 우위를 나타냈다. 2030년에는 △철강(100.8)까지 미국이 앞서면서 한국이 경쟁력을 갖춘 업종은 △선박(90.0) △이차전지(93.4) 2개로 줄어든다.

분야별 경쟁력 비교에서는 중국이 △가격경쟁력 △생산성 △정부지원에서, 미국은 △상품브랜드 △전문인력 △핵심기술에서 한국을 앞섰다. 중국을 최대 경쟁국으로 꼽은 기업 조사 결과, 올해 한국 대비 중국 경쟁력은 △가격경쟁력(130.7) △생산성(120.8) △정부지원(112.6) △전문인력(102.0) △핵심기술(101.8) △상품브랜드(96.7) 순이었다. 

2030년에는 △가격경쟁력(130.8) △생산성(123.8) △정부지원(115.1) △전문인력(112.4) △핵심기술(111.4) △상품브랜드(106.5)로, 현재 유일한 우위인 상품브랜드마저 중국에 밀릴 전망이다.

미국을 최대 경쟁국으로 본 기업들은 2025년 한국 대비 미국 경쟁력(한국=100)을 △상품브랜드(132.0) △전문인력(126.2) △생산성(124.7) △핵심기술(124.0) △정부지원(108.9) △가격경쟁력(102.1) 순으로 평가했다.

2030년에는 △상품브랜드(133.9) △전문인력(130.0) △핵심기술(129.3) △생산성(124.5) △정부지원(116.8) △가격경쟁력(111.1)로, 생산성을 제외한 모든 분야에서 격차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됐다.

기업들은 경쟁력 제고의 장애 요인으로 △국내 제품 경쟁력 약화(21.9%) △대외리스크 증가(20.4%) △인구감소에 따른 내수 부진(19.6%) △AI 등 핵심 기술인력 부족(18.5%) △낙후된 노동시장·기업법제(11.3%) 등을 꼽았다.

경쟁력 제고를 위한 정부 지원 과제로는 △대외리스크 최소화(28.7%) △핵심인력 양성 시스템 구축(18.0%) △세제·규제 완화 등 경제 효율성 제고(17.2%) △미래 기술 투자 확대(15.9%) 등을 요청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