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8월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미일 순방 경제인 간담회를 하고 있다. (왼쪽부터) 장재훈 현대자동차 부회장,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이 대통령, 구광모 LG그룹 회장, 박지원 두산그룹 부회장 겸 두산에너빌리티 회장. [출처=대통령실]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8월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미일 순방 경제인 간담회를 하고 있다. (왼쪽부터) 장재훈 현대자동차 부회장,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이 대통령, 구광모 LG그룹 회장, 박지원 두산그룹 부회장 겸 두산에너빌리티 회장. [출처=대통령실]

이재명 대통령이 한미 관세협상 타결 이후 산업계와의 첫 소통에 나선다. 관세 불확실성이 해소된 만큼 기업들의 투자·고용 확대 전략과 산업별 대응 방안을 직접 점검하겠다는 행보다.

이 대통령은 16일 오후 2시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한미 관세협상 후속 민관 합동회의’를 주재한다. 이번 회의는 양국이 상호관세율을 기존 25%에서 15%로 낮추는 대신 한국이 미국 내 3500억 달러 규모 투자를 추진하기로 한 공동 설명자료(조인트 팩트시트) 확정에 따른 후속 조치를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회의에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 구광모 LG그룹 회장, 정기선 HD현대 회장,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 여승주 한화그룹 부회장 등 재계 총수 7명이 참석한다.

관세협상 결과가 사실상 국내 주력 산업과 직결되는 만큼, 이번 회동에서 업종별 영향 분석이 핵심 의제가 될 전망이다.

자동차 관세 조정은 현대차·기아 글로벌 전략에 영향을 미치며, 반도체는 삼성전자와 SK의 대미 공급망 재편과 맞물린다. 의약·바이오 분야는 셀트리온, 방위산업은 한화·HD현대에 직결돼 기업별 대응 전략의 폭이 넓다.

이 대통령은 각 그룹 총수들로부터 업종별 우려와 건의 사항을 직접 청취하고, 민관 공조 방안을 모색할 것으로 보인다.

관세 부담 완화로 대미 수출 기업들이 직면해온 불확실성이 해소된 만큼 정부와 기업 간 협의는 국내 투자 확대, 신규 고용 창출 방안 등으로 확장될 가능성이 크다.

정부는 이번 회의를 시작으로 산업별 후속 조치와 지원책을 구체화하며 민관 협력 체계를 강화할 방침이다.

산업계 관계자는 “관세 이슈로 지연되던 기업들의 국내외 사업 전략이 정상 궤도에 오를 수 있도록 민관이 함께 대응하는 자리”라며 “총수들의 현장 의견을 폭넓게 들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