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하이닉스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건설 현장. [출처=SK하이닉스]
SK하이닉스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건설 현장. [출처=SK하이닉스]

SK하이닉스의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예상 투자 비용이 기존 120조원에서 최대 600조원까지 늘어날 전망이다. 용적률 상향에 따른 클린룸 면적 확대와 인공지능(AI) 붐으로 인한 시장 수요 폭증, 물가 상승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분석된다.

18일 반도체 업계에 따르면 최근 용인특례시가 클러스터 용적률을 기존 350%에서 490%로 상향 조정하면서 SK하이닉스는 당초 계획보다 1.5배(50%) 넓은 클린룸을 확보할 수 있게 됐다.

2019년 계획 발표 당시 120조원이던 투자비는 착공이 지연된 사이 AI 붐으로 메모리 반도체 수요가 폭증하며 급변했다. 늘어난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생산능력(캐파) 확대와 최첨단 공정 설비 도입, 물가 상승까지 맞물려 투자비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난 것이다.

최태원 SK그룹 회장도 지난 16일 "정확한 추산은 어렵지만 용인에만 약 600조원 규모의 투자가 이어질 것"이라고 언급해 이 같은 전망에 힘을 실었다.

용인 클러스터에는 총 4기의 팹(Fab)이 들어설 예정이며, 팹 1기당 규모는 청주 M15X 팹(투자비 20조원 이상) 6개와 맞먹는다. 단순 계산으로도 팹 1기당 120조원, 총 480조원 이상의 투자가 필요하다. 2050년까지 이어지는 장기 프로젝트인 만큼 물가상승률을 감안하면 600조원이 합리적인 추정치라는 분석이다.

SK하이닉스는 2027년 첫 번째 팹의 첫 클린룸 가동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업계는 용인 클러스터가 향후 글로벌 메모리 시장 수요 대응에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보고 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