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프 베이조스 [출처=연합뉴스]
제프 베이조스 [출처=연합뉴스]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 아마존의 창업자 제프 베이조스가 4년 만에 경영 일선에 복귀한다. 인공지능(AI) 스타트업 ‘프로젝트 프로메테우스’ 공동 CEO로서 차세대 AI 기술 개발에 직접 나선다는 방침이다.

미국 뉴욕타임스(NYT)는 17일(현지시간)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베이조스가 AI 스타트업 ‘프로젝트 프로메테우스’의 공동 최고경영자(CEO)를 맡았다고 보도했다. 그는 지난 2021년 7월 아마존 CEO에서 물러난 이후 별도의 공식 직함 없이 블루오리진 등 개인 사업에 참여해왔지만, 이번에 다시 경영자로 공식 복귀하게 됐다.

프로젝트 프로메테우스는 이미 62억달러(9조원)에 달하는 투자금을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으며, 이 중에는 베이조스의 직접 출연금도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코스피 시가총액 70위권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이 회사는 설립 시점이나 본사 위치조차 공개되지 않았지만, AI 업계에서 ‘잠룡’으로 주목받고 있다.

프로메테우스는 기존의 텍스트 중심 생성형 AI를 넘어, 현실 세계를 기반으로 학습하는 새로운 형태의 AI를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물리 실험과 관찰을 통해 데이터를 학습시키는 복잡한 접근법을 채택했다. 대형언어모델(LLM) 중심의 오픈AI나 구글 딥마인드와는 차별화된 방향이다. 이는 최근 AI를 통해 과학 문제 해결을 모색하는 ‘AI 과학자’ 흐름과도 맞닿아 있다.

실제 베이조스는 과학 기반 AI 스타트업 ‘피리오딕 랩스’에도 투자자로 참여하고 있다. 피리오딕 랩스는 최근 3억달러의 자금을 유치하며 주목을 받았다.

프로메테우스는 오픈AI, 구글 딥마인드, 메타 등에서 인재를 대거 영입해 현재 약 100명의 직원을 두고 있다. 베이조스와 함께 공동 CEO를 맡은 인물은 물리학자이자 화학자인 비크 바자즈 박사다. 그는 구글X에서 드론 배송 ‘윙’, 자율주행 ‘웨이모’, AI 의료기업 ‘베릴리’ 등을 탄생시킨 연구 프로젝트에 참여했으며, 베릴리의 창립 멤버로도 활동했다.

바자즈 박사는 링크트인 프로필을 통해 자신을 프로메테우스의 공동 CEO이자 공동 창업자로 소개하고 있으며, 근무지로 샌프란시스코, 런던, 취리히 세 곳을 명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