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시 맨해튼의 한 상점 창문에 채용 안내판이 걸려 있다. [출처=연합뉴스]
뉴욕시 맨해튼의 한 상점 창문에 채용 안내판이 걸려 있다. [출처=연합뉴스]

미국의 9월 고용지표가 시장 예상을 크게 웃돌며 부진했던 여름 이후 예상 밖 회복세를 보였다. 한 달 넘게 이어진 연방정부 셧다운으로 지표 발표가 지연됐지만 노동시장이 급격히 악화하고 있었다는 우려는 다소 완화된 모습이다.

BBC에 따르면 미 노동부는 9월 비농업 부문 취업자 수가 11만9000 명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는 시장 전망의 두 배를 넘는 수준이다. 다만 실업률은 4.3%에서 4.4%로 소폭 상승했다. 9월 수치는 강했지만, 7월과 8월 고용은 각각 7만2천 명 증가, 4천 명 감소로 하향 수정됐다.

셧다운으로 인해 약 7주간 통계 발표가 중단되면서 정책당국은 노동시장 상황을 파악하는 데 어려움을 겪어왔다. 노동시장 둔화 우려가 이어지는 가운데, 고용 증가는 중앙은행의 금리 인하 필요성을 둘러싼 논쟁을 다시 불러올 것으로 보인다.

연방준비제도(Fed)는 9월 이후 두 차례 기준금리를 인하해 현재 3.75~4% 범위로 낮춘 상태다. 그러나 최근 물가가 목표치(2%)를 웃도는 3%를 기록하는 등 불확실성이 지속되면서, 12월 추가 인하 여부를 두고 연준 내부에서도 의견이 갈리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번 자료가 명확한 방향성을 제시하지 못해 연준이 신중한 기조를 유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업종별로는 의료, 음식·주점 업종이 고용 증가를 주도했으며 운송·창고업, 제조업, 정부 부문은 일자리를 줄였다.

실업수당 청구 건수가 안정적인 흐름을 보이는 등 광범위한 시장 악화 신호는 뚜렷하지 않지만, 대규모 감원 발표가 늘고 있다는 점은 부담 요인으로 꼽힌다. 아마존, 타깃, UPS 등 주요 기업들이 최근 감원을 발표한 데 이어 버라이즌도 기술 변화 등을 이유로 1만3천 명 이상 감축 계획을 내놨다.

대졸 인력의 고용 부진도 두드러진다. 9월 대졸자 실업률은 2.8%로, 1년 전 2.3%에서 상승했다. 기술·사무직 구직난이 이어지면서 졸업 후 장기간 취업에 어려움을 겪는 사례도 확대되고 있다.

연준은 오는 12월 회의를 앞두고 있으며, 9월 지표는 회의 전 발표되는 마지막 공식 고용 통계다.

다만 10월 자료는 셧다운 여파로 일부 공백이 발생할 전망이다. 노동시장 신호가 혼재된 가운데 연준이 12월 금리 결정을 어떻게 내릴지가 주목된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