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화점 3사 [사진=각 사]
백화점 3사 [사진=각 사]

유통가 연말 인사 시즌이 임박했다. 롯데·신세계·현대백화점그룹 등 주요 3사는 이르면 이달부터 임원 인사를 단행할 예정이다. 업황 부진이 이어지는 가운데 인적쇄신 규모에 관심이 쏠린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신세계그룹은 이달 중 정기 임원인사를 발표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장 취임 이후 첫 정기 인사다. 신세계그룹은 지난해 9월 사장단 40%를 교체하는 파격 인사를 단행한 바 있다. 당시 인사는 이명희 신세계그룹 총괄회장이 진두지휘한 것으로 알려진다.

올해에는 ‘쇄신’보단 ‘안정’에 방점을 찍을 것으로 보인다. 정 회장 취임 수시 인사 제도를 도입하면서 실적이 부진하거나 경영상 오류가 발생하면 곧바로 교체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기 때문이다.

실제 수시 인사 도입 한 달 만에 정두영 신세계건설 대표를 경질한 데 이어 그간 실적 부진을 이어온 G마켓과 SSG대표를 지난 6월 교체했다. 관건은 주력 신세계그룹의 계열사인 이마트와 신세계 수장의 교체 여부다.

한채양 이마트 대표이사와 박주형 신세계 대표이사는 각각 지난해 정기 임원인사를 통해 이마트, 신세계 대표로 선임됐다. 이마트는 올해 창사 이래 첫 희망퇴직을 단행하면서 경영효율화에 나섰다. 강도 높은 수익성 개선 노력으로 연결 기준 상반기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신세계는 올해 2분기 사상 첫 매출을 기록했지만, 영업이익은 후퇴했다. 다만 신세계라이브쇼핑과 신세계까사 등 주요 자회사의 수익성은 개선됐다. 한 대표와 박 대표는 수익성 개선 측면에서 일정 부분 성과를 거둔 만큼 유임 가능성이 점쳐진다.

롯데그룹은 그간 11~12월에 임원인사를 단행했다. 지난해 12월 초 임원인사에선 주요 경영진을 교체하고 외부 CEO를 영입하는 등 인적쇄신에 방점을 찍었다. 당시 14개 계열사 대표가 교체되고 외부 출신인 박익진 롯데e커머스 대표, 장재훈 롯데물산 대표 등이 선임됐다. 롯데그룹은 지난 8월 계열사 임원 자기 평가와 공적서 제출 등을 마무리한 것으로 알려진다. 예년보다 2개월가량 앞당겨진 인사 평가다. 인사 평가가 앞당겨지면서 정기 인사도 기존보다 빨라질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롯데는 2018년 이후 6년 만에 ‘비상 경영’ 체제에 돌입했다. 실적 악화 중인 롯데온은 지난 6월 희망퇴직을 실시했고 롯데면세점 같은 달 전사 인력 구조조정과 임원 급여 20%를 삭감했다. 롯데지주에선 임원들이 자발적으로 주 6일 근무에 나서고 있다.

관전 포인트는 신 회장의 장남 신유열 롯데지주 미래성장실장(전무)의 승진 가능성이다. 신 전무는 지난 2022년 한국 롯데케미칼 상무에 오른 지 1년 만에 롯데지주 미래성장실장으로 승진했다.

현대백화점그룹은 예년과 같이 내달 중 정기 인사가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현대백화점은 지난해 11월 단일 지주회사로 전환하면서 현대지에프홀딩스를 설립하고 장호진 사장을 대표로 선임했다. 정기 인사에선 백화점, 홈쇼핑 대표를 교체했다. 현재 현대백화점은 정지영 사장, 현대홈쇼핑은 한광영 부사장이 이끌고 있다.

지난해 인사 키워드는 ‘안정 기조 속 미래 성장을 위한 변화 추구’였다. 어려움 경영 환경 속에 조직 확장보단 내실을 꾀하면서 변화와 혁신을 추진한다는 의미다. 지난해 핵심 계열사 대표를 교체한 만큼 올해에는 큰 변화보다는 안정에 방점을 찍을 것으로 보인다.

롯데·신세계그룹 등은 정기 인사와 관련해 “정확한 인사와 규모는 특정할 수 없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