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공=에이비엘바이오]](https://cdn.ebn.co.kr/news/photo/202410/1641129_652051_1331.png)
에이비엘바이오가 차세대 이중항체 ADC(Antibody Drug Conjugate) 개발이 순항하고 있다고 24일 밝혔다. 에이비엘바이오는 비임상 단계의 이중항체 ADC ABL206, ABL209, ABL210의 개발을 가속화해 2026년 초까지 이들 파이프라인의 임상 1상 임상시험계획(IND) 신청을 완료할 계획이다.
이중항체 ADC는 서로 다른 두 개의 항원을 표적하는 이중항체에 화학치료제인 페이로드(Payload)를 붙인 차세대 모달리티(Modality)다. 이중항체 ADC는 암 세포에 정확히 결합한 뒤 암 세포 내부로 빠르게 침투함으로써 기존 단일항체 ADC 대비 개선된 안전성을 보일 뿐만 아니라 높은 치료용량범위(Therapeutic Window)와 우수한 효능 역시 가지고 있다.
글로벌에서는 시스트이뮨(SystImmune)이 미국 임상 1상 단계의 이중항체 ADC에 대한 글로벌 권리(중국 제외)를 브리스톨 마이어스 스큅(Bristol Myers Squibb, BMS)에 계약금만 8억 달러(약 1조원)를 받으며 기술이전 한 바 있다.
에이비엘바이오는 ADC 전문기업 시나픽스(Synaffix), 인투셀(IntoCell)과 링커-페이로드(Linker-Payload) 기술 도입 계약을 체결하는 등 차세대 이중항체 ADC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아직 규제기관으로부터 승인 받은 약물이 없는 만큼 에이비엘바이오는 빠른 이중항체 ADC 시장 진입을 통해 글로벌 선두 자리를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현재 에이비엘바이오의 ADC 전문 인력들이 ABL206, ABL209, ABL210의 임상 1상 IND 신청에 필요한 비임상 시험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들 파이프라인의 미국 임상 진행 및 사업 개발을 위해 글로벌 제약사에서 ADC 개발 경험이 있는 전문가 역시 확보하는 중이다.
- 코스피, 외인·기관 ‘팔자’에 2580선 후퇴…삼성전자 또 신저가
- 진원생명과학, 美 기업과 50억원 규모 DNA 의약품 공급계약
- 위고비發 비만약 열풍 속…K-제약도 연구·개발 박차
- ‘K-바이오 새역사’ 쓰는 삼바, 업계 첫 ‘연매출 4조’ 달성 성큼
- 포스코인터내셔널, 인니 '팜 사업' 국제 인증..."바이오 연료 진출 발판"
- SK바이오사이언스, 3분기 영업손실 396억원…적자 전환
- 의약품 제조·신약 개발…제약사들, 자회사 역량 키운다
- '3개월간 판매 업무 정지' JW신약, ‘그래도 울지 않는다’
- 동아쏘시오홀딩스, ESG평가서 첫 A+ 통합등급 획득
- 제약업계 엇갈리는 3분기 실적…"의료대란 여파"
- "美 FDA 문턱 넘기 어렵네"…투심 꺾인 HLB
- 에이비엘바이오, 사노피에 ABL301 제조 기술 이전 완료
- 이상훈 에이비엘바이오 대표 “혈뇌장벽 셔틀 플랫폼 확장…기술수출 본격화”